파이썬에서 가장 빈번하게 사용하는 자료구조는 리스트, 튜플, 셋, 딕셔너리다. 이 네가지 구조는 모두 데이터의 컬렉션(collection)이다.
파이썬은 리스트를 배열처럼 취급한다. 리스트에서 아이템을 검색할 때 걸리는 시간은 선형적으로 증가하기 때문에, 검색이 가능한 대용량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용도로는 실용성이 떨어진다.
투플은 변형이 불가능한 리스트로 한 번 생성되면 변형할 수 없다. 튜플 역시 검색에 걸리는 시간이 선형적으로 증가한다.
리스트나 튜플과 달리 셋에는 순서가 없고, 셋이 담고 있는 아이템은 인덱스가 없다. 셋에는 같은 아이템이 중복으로 저장될 수 없으며, 검색 시간은 준선형적인 O(log(N))으로 증가한다. 회원 명단을 조회하거나 중복 항목을 삭제하는 데 셋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중복된 아이템이 들어 있는 리스트를 셋으로 변환하면 중복된 아이템을 모두 삭제한다).
mList = list(set(myList)) # myList에서 중복된 아이템들을 삭제한다.
리스트 데이터를 셋으로 변환해 더 빠르게 회원 명단을 조회해 보자. 예를 들어 bigList라는 리스트에는 정수 1 부터 1000만까지가 문자열로 변환되어 들어 있다고 하자.
bigList = [str(i) for i in range(10000000)]
"abc" in bigList # 0.2초가 걸린다
bigSet = set(bigList)
"abc" in bigSet #15~30마이크로초가 걸린다. 1만 배나 더 빠르다!
딕셔너리는 키(key)를 값(value)에 매핑한다. 숫자, 불, 문자열, 튜플처럼 해시화 할 수 있는 데이터 타입은 키가 될 수 있고, 같은 딕셔너리에 들어 있다 하더라도 키들은 서로 다른 데이터 타입에 속할 수 있다. 값의 데이터 형식에도 별도의 제약 사항은 없다. 딕셔너리의 검색 시간은 준선형적인 O(log(N))으로 증가한다. 키-값으로 검색해야 할 때 딕셔너리는 매우 유용하다.
튜플(키, 값)이 여러 개 있는 리스트에서 딕셔너리를 만들 수 있다. 그리고 내장된 클래스 생성자(constructor)인 enumerate(seq)를 사용해 seq안의 아이템 순분을 키로 지정한 딕셔너리를 만들 수 있다.
seq = ["alpha", "bravo", "charlie", "delta"]
dict(enumerate(seq))
>>>
{0: 'alpha', 1: 'bravo', 2: 'charlie', 3:'delta'}
딕셔너리를 만드는 또 다른 방법은 키 순서열(kseq)과 값 순서열(vseq)에 클래스 생성자인 zip(kseq, vseq)를 사용하는 것이다.
kseq = "abcd" # 문자열 또한 순서열이다.
vseq = ["alpha", "bravo", "charlie", "delta"]
dict(zip(kseq, vseq))
>>>
{'a': 'alpha', 'c': 'charlie', 'b': 'bravo', 'd': 'delta'}
파이썬에서 enumerate(seq)와 zip(kseq, vseq) 함수는 (자주 쓰는 range() 함수 또한) 리스트 제너레이터(generator)로 사용한다. 리스트 제너레이터는 이터레이터(iterator)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데, 이는 for 루프를 사용 가능하게 한다. 실제 리스트와 달리 리스트 제너레이터는 요청이 있을 때만 다음 아이템을 생산하는 지연 방식(lazy way)으로 작동한다. 제너레이터는 대용량의 리스트를 소화할 수 있으며, 심지어 '무한한'리스트도 허용한다. list() 함수를 사용해 제너레이터를 리스트로 명시적으로 변환할 수 있다.
2018년 7월 3일 화요일
2018년 7월 1일 일요일
4. 기본 문자열 함수 이해하기
문자열은 컴퓨터와 인간의 세계를 잇는 상호 작용의 기본 단위다. 거의 모든 원천 데이터는 문자열 형태로 저장되어 있다. 여기서는 텍스트 문자열을 읽고 변형하는 방법을 배운다.
여기서 다루는 모든 함수는 내장된 str클래스의 멤버다.
대.소문자 변환(case conversion)함수는 원래 문자열 s의 복사본을 반환한다. lower()함수는 모든 문자를 소문자로 변환하고, upper() 함수는 모든 문자를 대분자로 변환한다. 그리고 capitalize() 함수는 첫 번째 문자를 대문자로 변환하고, 나머지 문자들은 소문자로 변환한다. 이 함수들은 아파벳이 아닌 문자는 무시한다. 대.소문자 변환 함수는 62쪽에서 다룰 정규화의 가장 중요한 요소다.
프레디케이트(predicate)함수는 해당 문자열 s가 특정 클래스에 속하는지에 따라 True나 False를 반환한다. islower()함수는 모든 알파벳 문자가 소문자인지 체크한다. isupper()함수는 모든 문자가 대문자인지 확인한다. isspace()함수는 모든 문자가 공백인지 체크한다. isdigit()함수는 모든 문자가 0에서 9 사이 숫자인지 확인한다. 그리고 isalpha() 함수는 모든 문자가 a~z, A~Z사이의 아파벳 문자인지 체크한다. 여러분도 이 함수들을 사용해 단어가 정확하지, 정수가 양수인지, 올바르게 뛰어쓰기를 했는지 등을 테스트할 수 있다.
외부 파일이나 데이터베이스, 웹에서 데이터를 가져왔다면 때때로 파이썬은 문자열 데이터를 문자열이 아닌 바이너리 배열로 표현한다. 이때 파이썬에서는 바이너리 배열 앞에 b를 붙여서 표기한다. 예를 들어 bin = b"Hello"는 바이너리 배열이고, s="Hello"는 문자열이다. 여기서 s[0]은 'H'이고 b[0]은 72인데 72문자 'H'에 해당하는 ASCII문자코드(CHARCODE)다. 디코딩(decoding)함수는 바이너리 배열을 문자열로 변환한다. bin.decode()는 바이너리 배열을 문자열로 변환하고, s.encode()는 문자열을 바이너리 배열로 변환한다. 많은 팡썬 함수는 문자열로 변환된 상태의 바이너리 데이터를 처리한다.
문자열 처리의 첫 번째 단계는 원치 않는 공백(새로운 줄과 탭을 포함한)을 제거하는 것이다. lstrip()(왼쪽 공백 제거)과 rstrip()(오른쪽 공백 제거), strip() 함수는 문자열의 모든 공백을 제거한다(문자 사이의 공백은 제거하지 않는다). 이렇게 공백을 제거하다 보면 아무것도 없는 빈 문자열이 될 수도 있다.!
"Hello, world! \t\t\n".strip()
>>>
'Hello, world!'
때때로 문자열은 공백, 클록이나 쉼표 등 구분자로 분리된 여러 개의 토큰으로 구성되어 있다. split(delim=" ") 함수는 delim을 구분자로 사용해 문자열 s를 부분 문자열의 리스트로 쪼갠다. 구분자를 지정하지 않았다면 파이썬이 공백을 사용해 문자열을 쪼개고, 연속해서 공백이 있으면 이를 하나의 공백으로 인식한다.
"Hello, world!".split() # Hello, 와 world!사이에 2개의 공백이 있다.
>>>
['Hello', 'world!']
"Hello, world!". split(" ") # Hello, 와 world! 사이에 2개의 공백이 있다.
>>>
['Hello', ' ', 'world!']
"www.networksciencelab.com".split(".")
>>>
['www', 'networksciencelab', 'com']
자매 함수인 join(ls)는 객체 문자열을 접착제로 사용해 문자열 리스트 ls를 하나의 문자열로 붙인다. join()함수를 사용하면 문자열 조각을 재조합할 수 있다.
", ".join(["alpha", "bravo", "charlie", "delta"])
>>>
'alpha, brawo, chalie, delta'
앞의 예제에서 join() 함수는 접착제 문자열 사이에만 넣고, 첫 번째 문자열 앞이나 마지막 문자열 뒤에는 넣지 않는 것을 볼 수 있다. 문자열을 자르고 다시 합치는 것은 구분자를 다른 문자열로 치환하는 것과 같다.
"-".join("1.617.305.1985".split("."))
>>>
'1-617-305-1985"
이따금 여러분은 이 두가지 함수를 같이 사용해서 필요 없는 공백을 문자열에서 제거하고 싶을 것이다. 정규 표현식에 기반한 치환을 사용하면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 ".join("This string\n\r has many\t\tspaces".split())
>>>
'This string has many spaces'
find(needle) 함수는 해당 문자열에서 부문 문자열 needle이 처음 등장하는 인덱스를 반환하며, 부분 문자열이 없ㅇ르 때는 -1을 반환한다. 이 함수는 대.소문자를 구분(case-sensitive)한다. 문자열에서 특히 관심 있는 부분을 찾는데 find()함수를 활용할 수 있다.
"www.networksciencelab.com".find(".com")
>>>
21
count(needle) 함수는 대상 문자열에서 부문 문자열 needle이 등장하는 횟수를 반환한다. 이 함수 역시 대.소문자를 구분한다.
"www.networksciencelab.com".count(".")
>>>
2
문자열은 데이터 처리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요소이지만 유일한 구성 요소는 아니며, 가장 효율적인 요소라고도 할 수 없다. 여러분은 앞으로 리스트(list), 튜플(tuple), 셋(set), 딕셔너리(dictionary)를 사용해 문자열과 수치형 데이터를 묶고, 더 효율적인 방법으로 검색하고 정렬하게 될 것이다.
여기서 다루는 모든 함수는 내장된 str클래스의 멤버다.
대.소문자 변환(case conversion)함수는 원래 문자열 s의 복사본을 반환한다. lower()함수는 모든 문자를 소문자로 변환하고, upper() 함수는 모든 문자를 대분자로 변환한다. 그리고 capitalize() 함수는 첫 번째 문자를 대문자로 변환하고, 나머지 문자들은 소문자로 변환한다. 이 함수들은 아파벳이 아닌 문자는 무시한다. 대.소문자 변환 함수는 62쪽에서 다룰 정규화의 가장 중요한 요소다.
프레디케이트(predicate)함수는 해당 문자열 s가 특정 클래스에 속하는지에 따라 True나 False를 반환한다. islower()함수는 모든 알파벳 문자가 소문자인지 체크한다. isupper()함수는 모든 문자가 대문자인지 확인한다. isspace()함수는 모든 문자가 공백인지 체크한다. isdigit()함수는 모든 문자가 0에서 9 사이 숫자인지 확인한다. 그리고 isalpha() 함수는 모든 문자가 a~z, A~Z사이의 아파벳 문자인지 체크한다. 여러분도 이 함수들을 사용해 단어가 정확하지, 정수가 양수인지, 올바르게 뛰어쓰기를 했는지 등을 테스트할 수 있다.
외부 파일이나 데이터베이스, 웹에서 데이터를 가져왔다면 때때로 파이썬은 문자열 데이터를 문자열이 아닌 바이너리 배열로 표현한다. 이때 파이썬에서는 바이너리 배열 앞에 b를 붙여서 표기한다. 예를 들어 bin = b"Hello"는 바이너리 배열이고, s="Hello"는 문자열이다. 여기서 s[0]은 'H'이고 b[0]은 72인데 72문자 'H'에 해당하는 ASCII문자코드(CHARCODE)다. 디코딩(decoding)함수는 바이너리 배열을 문자열로 변환한다. bin.decode()는 바이너리 배열을 문자열로 변환하고, s.encode()는 문자열을 바이너리 배열로 변환한다. 많은 팡썬 함수는 문자열로 변환된 상태의 바이너리 데이터를 처리한다.
문자열 처리의 첫 번째 단계는 원치 않는 공백(새로운 줄과 탭을 포함한)을 제거하는 것이다. lstrip()(왼쪽 공백 제거)과 rstrip()(오른쪽 공백 제거), strip() 함수는 문자열의 모든 공백을 제거한다(문자 사이의 공백은 제거하지 않는다). 이렇게 공백을 제거하다 보면 아무것도 없는 빈 문자열이 될 수도 있다.!
"Hello, world! \t\t\n".strip()
>>>
'Hello, world!'
때때로 문자열은 공백, 클록이나 쉼표 등 구분자로 분리된 여러 개의 토큰으로 구성되어 있다. split(delim=" ") 함수는 delim을 구분자로 사용해 문자열 s를 부분 문자열의 리스트로 쪼갠다. 구분자를 지정하지 않았다면 파이썬이 공백을 사용해 문자열을 쪼개고, 연속해서 공백이 있으면 이를 하나의 공백으로 인식한다.
"Hello, world!".split() # Hello, 와 world!사이에 2개의 공백이 있다.
>>>
['Hello', 'world!']
"Hello, world!". split(" ") # Hello, 와 world! 사이에 2개의 공백이 있다.
>>>
['Hello', ' ', 'world!']
"www.networksciencelab.com".split(".")
>>>
['www', 'networksciencelab', 'com']
자매 함수인 join(ls)는 객체 문자열을 접착제로 사용해 문자열 리스트 ls를 하나의 문자열로 붙인다. join()함수를 사용하면 문자열 조각을 재조합할 수 있다.
", ".join(["alpha", "bravo", "charlie", "delta"])
>>>
'alpha, brawo, chalie, delta'
앞의 예제에서 join() 함수는 접착제 문자열 사이에만 넣고, 첫 번째 문자열 앞이나 마지막 문자열 뒤에는 넣지 않는 것을 볼 수 있다. 문자열을 자르고 다시 합치는 것은 구분자를 다른 문자열로 치환하는 것과 같다.
"-".join("1.617.305.1985".split("."))
>>>
'1-617-305-1985"
이따금 여러분은 이 두가지 함수를 같이 사용해서 필요 없는 공백을 문자열에서 제거하고 싶을 것이다. 정규 표현식에 기반한 치환을 사용하면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 ".join("This string\n\r has many\t\tspaces".split())
>>>
'This string has many spaces'
find(needle) 함수는 해당 문자열에서 부문 문자열 needle이 처음 등장하는 인덱스를 반환하며, 부분 문자열이 없ㅇ르 때는 -1을 반환한다. 이 함수는 대.소문자를 구분(case-sensitive)한다. 문자열에서 특히 관심 있는 부분을 찾는데 find()함수를 활용할 수 있다.
"www.networksciencelab.com".find(".com")
>>>
21
count(needle) 함수는 대상 문자열에서 부문 문자열 needle이 등장하는 횟수를 반환한다. 이 함수 역시 대.소문자를 구분한다.
"www.networksciencelab.com".count(".")
>>>
2
문자열은 데이터 처리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요소이지만 유일한 구성 요소는 아니며, 가장 효율적인 요소라고도 할 수 없다. 여러분은 앞으로 리스트(list), 튜플(tuple), 셋(set), 딕셔너리(dictionary)를 사용해 문자열과 수치형 데이터를 묶고, 더 효율적인 방법으로 검색하고 정렬하게 될 것이다.
3. 보고서 구조
프로젝트 보고서는 우리가 데이터 분석 의뢰인(고객)에게 전달하는 결과물이다. 보고서는 보통 다음 항목으로 구성된다.
- 요약(짧은 프로젝트 설명)
- 서론
- 데이터 수집과 처리에 사용한 방법
- 분석 결과(중간 결과나 중요도가 떨어지는 내용은 포함하지 않고 부록에 삽입)
- 결론
- 부록
부록에는 부차적이 결과와 차트뿐만 아니라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 사용한 모든 재사용 코드를 기록한다. 스크립트에는 주석을 충실히 달아서 별도의 파라미터 입력이나 사용자 상호 작용 없이도 실행할 수 있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원천 데이터를 제출하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 의뢰인이 데이터를 제공했거나 해당 파일을 변형하지 않았다면, 제출하는 원천 데이터는 코드를 재사용 가능한 방법으로 실행할 수 있어야 한다. 보통 첨부한 모든 데이터 파일의 출처와 포맷은 README 파일에 기록한다.
이러한 보고서 구조를 반드시 지켜야 할 필요는 없다. 데이터 분석 의뢰인의 요청이나 상식적인 판단에 따라 다른 대안을 사용해도 좋다.
- 요약(짧은 프로젝트 설명)
- 서론
- 데이터 수집과 처리에 사용한 방법
- 분석 결과(중간 결과나 중요도가 떨어지는 내용은 포함하지 않고 부록에 삽입)
- 결론
- 부록
부록에는 부차적이 결과와 차트뿐만 아니라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 사용한 모든 재사용 코드를 기록한다. 스크립트에는 주석을 충실히 달아서 별도의 파라미터 입력이나 사용자 상호 작용 없이도 실행할 수 있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원천 데이터를 제출하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 의뢰인이 데이터를 제공했거나 해당 파일을 변형하지 않았다면, 제출하는 원천 데이터는 코드를 재사용 가능한 방법으로 실행할 수 있어야 한다. 보통 첨부한 모든 데이터 파일의 출처와 포맷은 README 파일에 기록한다.
이러한 보고서 구조를 반드시 지켜야 할 필요는 없다. 데이터 분석 의뢰인의 요청이나 상식적인 판단에 따라 다른 대안을 사용해도 좋다.
2. 데이터 수집 파이브 라인
데이터 수집은 다음과 같이 다양한 출처에서 입력 데이터 포함된 아티팩트(artifact)를 획득하고, 아트팩트에서 데이터를 추출하며, 추출한 데이터를 추가적인 처리에 적합한 형태로 변환하는 것이다.
데이터를 얻는데 주로 사용하는 출처 세가지는 인터넷(즉, 월드 와이드 웹), 데이터베이스, 로커 파일(다른 프로그램으로 만들거나 인터넷에서 내려받은 파일)이다. 다른 파이썬 프로그램을 사용해 만들거나 '압축(pickled)'한 파일도 역시 로컬 파일이다('UNIT 12. pickle로 데이터 압축하기'에서 더 자세히 알아보자).
아티팩트에 들어 있는 포맷은 매우 다양하다. 다음 장부터 가장 인기 있는 데이터 포맷들을 다루는 방법을 자세히 알아볼 것이다.
- 자연어로 된 비정형 플레인 텍스트 데이터(영어나 중국어)
- 정형 데이터
- 쉼표로 구분된 텍스트(CSV) 파일 형식의 데이블형 데이터
- 하이퍼텍스트 마크업 언어(HTML)나 다목적 마크업 언어(XML)로 된 태그 데이터
- JSON(JavaScript Object Notation) 형식의 태그 데이터
추출한 데이터의 원래 구조, 추가적인 처리의 목적과 특성에 따라 이 책에 수록된 예제에서 사용한 데이터의 파이썬에 내장된 데이터 구조(리스트와 딕셔너리)나, 특수한 연산(numpy 배열이나 pandas 데이터 프레임)을 지원하는 고급 데이터 구조로 표현한다.
필자는 데이터 처리 파이프라인(원천 데이터의 수립, 전처리, 변환, 기술 통계의 탐색적 데이터 분석, 데이터 모델링과 예측)을 완전히 자동화하려고 노력했다.
인터팩티브 GUI도구는 가급적 사용하지 않는데, 배치(batch)모드에서 실행하기가 쉽지않고 작동 로그를 남기지 않기 때문이다. 필자는 모듈성, 재사용성, 복구용이성을 높이려고 긴 파이프라인을 작은 서브 파이브라인으로 쪼개 중간 결과를 pickle이나 JSON 파일로 저장할 것이다.
파이프라인 자동화는 자연스럽게 재사용 가능한 코드로 이어진다. 재사용 가능한 코드를 사용하면 별도의 상호 작용 없이도 누구나 원천 데이터로 보고서에 기록된 최종 결과물을 얻을 수 있다. 다른 연구자들은 재사용 가능한 코드로 여러분의 모델과 결과를 검증하고, 여러분이 개발한 프로세스를 적용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데이터를 얻는데 주로 사용하는 출처 세가지는 인터넷(즉, 월드 와이드 웹), 데이터베이스, 로커 파일(다른 프로그램으로 만들거나 인터넷에서 내려받은 파일)이다. 다른 파이썬 프로그램을 사용해 만들거나 '압축(pickled)'한 파일도 역시 로컬 파일이다('UNIT 12. pickle로 데이터 압축하기'에서 더 자세히 알아보자).
아티팩트에 들어 있는 포맷은 매우 다양하다. 다음 장부터 가장 인기 있는 데이터 포맷들을 다루는 방법을 자세히 알아볼 것이다.
- 자연어로 된 비정형 플레인 텍스트 데이터(영어나 중국어)
- 정형 데이터
- 쉼표로 구분된 텍스트(CSV) 파일 형식의 데이블형 데이터
- 하이퍼텍스트 마크업 언어(HTML)나 다목적 마크업 언어(XML)로 된 태그 데이터
- JSON(JavaScript Object Notation) 형식의 태그 데이터
추출한 데이터의 원래 구조, 추가적인 처리의 목적과 특성에 따라 이 책에 수록된 예제에서 사용한 데이터의 파이썬에 내장된 데이터 구조(리스트와 딕셔너리)나, 특수한 연산(numpy 배열이나 pandas 데이터 프레임)을 지원하는 고급 데이터 구조로 표현한다.
필자는 데이터 처리 파이프라인(원천 데이터의 수립, 전처리, 변환, 기술 통계의 탐색적 데이터 분석, 데이터 모델링과 예측)을 완전히 자동화하려고 노력했다.
인터팩티브 GUI도구는 가급적 사용하지 않는데, 배치(batch)모드에서 실행하기가 쉽지않고 작동 로그를 남기지 않기 때문이다. 필자는 모듈성, 재사용성, 복구용이성을 높이려고 긴 파이프라인을 작은 서브 파이브라인으로 쪼개 중간 결과를 pickle이나 JSON 파일로 저장할 것이다.
파이프라인 자동화는 자연스럽게 재사용 가능한 코드로 이어진다. 재사용 가능한 코드를 사용하면 별도의 상호 작용 없이도 누구나 원천 데이터로 보고서에 기록된 최종 결과물을 얻을 수 있다. 다른 연구자들은 재사용 가능한 코드로 여러분의 모델과 결과를 검증하고, 여러분이 개발한 프로세스를 적용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2018년 6월 30일 토요일
1. 데이터 분석 과정
전형적인 데이터 분석 과정은 일반적인 과학적 발견의절차와 같다.
데이터 과학에서는 대답해야 할 질문과 적용해야 할 분석 방법에서 발견이 시작된다. 가장 단순한 형태의 분석 방법은 기술(descriptive) 통계로 데이터셋을 취합해 시각화한 형태로 표현한다. 주어진 샘플 데이터의 크기가 작고, 이것으로 더 큰 모수를 알고 싶다면 통계에 기반한 추정(inferential)이 적합하다. 예측(predictive)을 하고자 하는 분석가는 과거에서 배워 미래를 예측하낟. 인과(causal)분석은 서로에게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식별한다. 마지막으로 역학(mechanistic)데이터 분석은 변수가 다른 변수에 정학히 어떤 여향ㅇ을 주는지 탐구한다.
여러분이 진행하는 분석은 퀄리티는 결국 얼마나 좋은 데이터를 사용하느냐에 달렸다. 무엇이 가장 이상적인 데이터셋일까? 이 이상적인 세계에서 어떤 데이터가 여러분의 질문에 답을 가졌을까? 하지만 현실에서는 이상적인 데이터셋이 존재하지 앟거나 구하기가 매우 어려울 수있다. 그렇다면 데이터가 많지 않거나 측정값이 적확하지 않은 데이터셋이더라도 원하는 목적을 이룰수 있을까?
다행이도 웹이나 데이터베이스에서 원천 데이터를 얻기는 그리 어렵지 않으며, 내려받기와 문자 해독을 지원하는 파이썬 코드가 널려 있다. 'UNIT 02. 데이터수집 파이프라인'에서 더 자세히 알아보자.
우리가 살고 있는 불완전한 세상에서 완전한 데이터란 없다. '더러운(dirty)'데이터에는 누락된 값, 이상치, 여러 '비정삭적인' 아이템이 들어 있다. 몇 가지 '더러운' 데이터의 예로 미래의 생년월일, 음수로 표현된 나이와 체중, noreply@처럼 사용할 수 없는 이메일 주소를 들 수 있다. 원천 데이터를 얻으면 다음 데이터 정제 도구와 여러분의 통계학적 지식을 활용해서 데이터셋을 정규화해야 한다.
데이터를 정제했다면 이제 기술 통계 분석과 탐색적 분석을 해보자. 이 단계에서는 결과물은 통상적으로 산포도(scatter plot),히스토그램, 통계학 요약이다. 이 과정을 거쳐 데이터셋에감을 잡아 후속 분석 방향을 정할 수 있다.특히 데이터셋을 구성하는 변수가 많다면 감을 잡는 과정은 반드시 필요하다.
그리고 이제 미래를 예측할 차례다. 데이터 모델을 적절하게 학습했다면 이를 사용해 과거를 배워 미래를 예측할 수 있다. 만든 모델과 그 예측 정확도를 평가해야 한다는 것을 잊지 말자!
지금부터는 통계학자와 프로그래머로서가 아니라 도메인 전문가로서 역할을 수행할 때다. 몇 가지 결과를 얻기는 했는데 이것이 정말 의미가 있을까? 바꿔 말하면 이 결과가 다른 사람의 관심을 끌거나 어떤 변화로 이어지는가? 이번에는 여러분이 지금까지 만든 결과물을 평가하는 사람이라고 차자. 무엇을 잘했고, 잘못했고, 기회가 주어지면 어떤 부분을 개선할 수 있을까? 다른 데이터를 사용하거나 다른 종류의 분석을 수행하거나 다른 질문을 하거나 다른 모델을 만드는 것이 나을까? 다른 누군가가 이러한 질문을 할 바에야 스스로가 먼저 하는 것이 더 낫다. 아직 프로젝트 맥락을 이해하고 있다면 이것의 답을 찾아보자.
마지막으로 어떻게, 왜 데이터를 처리했는지, 어떤 모델을 만들었는지, 어떤 결론과 예측이 가능한지 보고서를 만들어야 한다. 이 장 마지막인'UNIT 03. 보고서 구조'에서 더 자세히 알아보자.
여러분의 학습을 돕는 동반자로서 이 책은 특히 데이터 분석의 준비 단계에 초점을 마춘다. 준비 단계에서는 데이터를 수집.전처리.정리.분류하며, 다른 단계에 비해 정형화되어 있지 않아 다양한 창의적 접근이 가능하다. 예측 모델링을 생략하지는 않았다. 거기서 진짜 마법 같은 일이 일어나니까 말이다.) 결과 해석, 비판, 보고는 분석 주제에 따라 보통 다른 접근 방식을 취해야 한다.
데이터 과학에서는 대답해야 할 질문과 적용해야 할 분석 방법에서 발견이 시작된다. 가장 단순한 형태의 분석 방법은 기술(descriptive) 통계로 데이터셋을 취합해 시각화한 형태로 표현한다. 주어진 샘플 데이터의 크기가 작고, 이것으로 더 큰 모수를 알고 싶다면 통계에 기반한 추정(inferential)이 적합하다. 예측(predictive)을 하고자 하는 분석가는 과거에서 배워 미래를 예측하낟. 인과(causal)분석은 서로에게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식별한다. 마지막으로 역학(mechanistic)데이터 분석은 변수가 다른 변수에 정학히 어떤 여향ㅇ을 주는지 탐구한다.
여러분이 진행하는 분석은 퀄리티는 결국 얼마나 좋은 데이터를 사용하느냐에 달렸다. 무엇이 가장 이상적인 데이터셋일까? 이 이상적인 세계에서 어떤 데이터가 여러분의 질문에 답을 가졌을까? 하지만 현실에서는 이상적인 데이터셋이 존재하지 앟거나 구하기가 매우 어려울 수있다. 그렇다면 데이터가 많지 않거나 측정값이 적확하지 않은 데이터셋이더라도 원하는 목적을 이룰수 있을까?
다행이도 웹이나 데이터베이스에서 원천 데이터를 얻기는 그리 어렵지 않으며, 내려받기와 문자 해독을 지원하는 파이썬 코드가 널려 있다. 'UNIT 02. 데이터수집 파이프라인'에서 더 자세히 알아보자.
우리가 살고 있는 불완전한 세상에서 완전한 데이터란 없다. '더러운(dirty)'데이터에는 누락된 값, 이상치, 여러 '비정삭적인' 아이템이 들어 있다. 몇 가지 '더러운' 데이터의 예로 미래의 생년월일, 음수로 표현된 나이와 체중, noreply@처럼 사용할 수 없는 이메일 주소를 들 수 있다. 원천 데이터를 얻으면 다음 데이터 정제 도구와 여러분의 통계학적 지식을 활용해서 데이터셋을 정규화해야 한다.
데이터를 정제했다면 이제 기술 통계 분석과 탐색적 분석을 해보자. 이 단계에서는 결과물은 통상적으로 산포도(scatter plot),히스토그램, 통계학 요약이다. 이 과정을 거쳐 데이터셋에감을 잡아 후속 분석 방향을 정할 수 있다.특히 데이터셋을 구성하는 변수가 많다면 감을 잡는 과정은 반드시 필요하다.
그리고 이제 미래를 예측할 차례다. 데이터 모델을 적절하게 학습했다면 이를 사용해 과거를 배워 미래를 예측할 수 있다. 만든 모델과 그 예측 정확도를 평가해야 한다는 것을 잊지 말자!
지금부터는 통계학자와 프로그래머로서가 아니라 도메인 전문가로서 역할을 수행할 때다. 몇 가지 결과를 얻기는 했는데 이것이 정말 의미가 있을까? 바꿔 말하면 이 결과가 다른 사람의 관심을 끌거나 어떤 변화로 이어지는가? 이번에는 여러분이 지금까지 만든 결과물을 평가하는 사람이라고 차자. 무엇을 잘했고, 잘못했고, 기회가 주어지면 어떤 부분을 개선할 수 있을까? 다른 데이터를 사용하거나 다른 종류의 분석을 수행하거나 다른 질문을 하거나 다른 모델을 만드는 것이 나을까? 다른 누군가가 이러한 질문을 할 바에야 스스로가 먼저 하는 것이 더 낫다. 아직 프로젝트 맥락을 이해하고 있다면 이것의 답을 찾아보자.
마지막으로 어떻게, 왜 데이터를 처리했는지, 어떤 모델을 만들었는지, 어떤 결론과 예측이 가능한지 보고서를 만들어야 한다. 이 장 마지막인'UNIT 03. 보고서 구조'에서 더 자세히 알아보자.
여러분의 학습을 돕는 동반자로서 이 책은 특히 데이터 분석의 준비 단계에 초점을 마춘다. 준비 단계에서는 데이터를 수집.전처리.정리.분류하며, 다른 단계에 비해 정형화되어 있지 않아 다양한 창의적 접근이 가능하다. 예측 모델링을 생략하지는 않았다. 거기서 진짜 마법 같은 일이 일어나니까 말이다.) 결과 해석, 비판, 보고는 분석 주제에 따라 보통 다른 접근 방식을 취해야 한다.
2018년 6월 2일 토요일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Neurons in Human Vision
The human sense of vision is unbelievably advanced. Within fractions of seconds, we can identify objects within our field of view, without thought or hesitation. Not only can we name objects we are looking at, we can also perceive their depth, perfectly distingush their contrours, and separate the objects from their backgrounds. Somehow our eyes take in raw voxels of color data, but our brain transforms that information into more meaningful primitives-lines, curves, and shapes - that might indicate, for example, that we're looking at a house cat.
Foundational to the human sense of vision is the
The human sense of vision is unbelievably advanced. Within fractions of seconds, we can identify objects within our field of view, without thought or hesitation. Not only can we name objects we are looking at, we can also perceive their depth, perfectly distingush their contrours, and separate the objects from their backgrounds. Somehow our eyes take in raw voxels of color data, but our brain transforms that information into more meaningful primitives-lines, curves, and shapes - that might indicate, for example, that we're looking at a house cat.
Foundational to the human sense of vision is the
2018년 5월 21일 월요일
CHAPTER 7 합성곱 신경망(CNN)
이번 장의 주제는 합성곱 신경망(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입니다. CNN은 이미지 인식과 음성 인식 등 다양한 곳에서 사용되는데, 특히 이미지 인식 분야에서 딥러닝을 활용한 기법은 거의 다 CNN을 기초로 하죠. 이번 장에서는 CNN의 메커니즘을 자세히 설명하고 이를 파이썬으로 구현해보겠습니다.
7.1 전체 구조
우선 CNN의 네트워크 구조를 살펴보며 전체 틀을 이해해보기로 하죠, CNN도 지금까지 본 신경망과 같이 레고 블록처럼 계층을 조합하여 만들 수 있습니다. 다만, 합성곱 계층(convolutional layer)과 폴링 계층(pooling layer)이 새롭게 등장합니다. 합성곱 계층과 폴링 계층의 상세 내용은 잠시 후 설명하기로 하고, 이번 절에서는 어떻게 조합하여 CNN을 만드는지를 먼저 보겠습니다.
지금까지 본 신경망은 인접하는 계층의 모든 뉴런과 결합되어 있었습니다. 이를 완전연결(fullyconnected,전결합)이라고 하며, 완전히 연결된 Affine 계층이라는 이름으로 구현했습니다. 이 Affine 계층을 사용하면, 가령 층이 5개인 완전연결 신경망은 [그림 7-1]과 같이 구현할 수 있습니다.
그림 7-1 완전연결 계층(Affine 계층)으로 이뤄진 네트워크의 예
2 -> affine -> Relu --> Affine->ReLU-->Affine->ReLU-->Affine->ReLU-->Affine-->Softmax
[그림7-1]과 같이 완전연결 신경망은 Affine 계층 뒤에 활성화 함수를 같는 ReLU계층(혹은 Sigmoid계층)이 이어집니다. 이 그림에서 Affine-ReLU조합이 4개가 쌓였고, 마지만 5번째 층은 Affine 계층에 이어 소프트맥스 계층에서 최종 결과(확률)를 출력합니다.
그림 7-2 CNN으로 이뤄진 네트워크의 예: 합성곱 계층과 폴링 계층이 새로 추가
2 ->Conv->ReLU->Pooling-->Conv->ReLU->Polling-->Conv->ReLU-->Affine->ReLU-->Affine->Sortmax-->
[그림 7-2]와 같이 CNN에서는 새로운 '합성곱 계층Conv'과 '폴링 계층Pooling'이 추가됩니다.
CNN의 계층은 'Conv-ReLU-(Pooling)'흐름으로 연결됩니다(폴링 계층는 생략하기도 합니다). 지금까지의 'Affine-ReLU'연결이 'Conv-ReLU-(Pooling)'으로 바뀌었다고 생각할 수 있겠죠.
[그림 7-2]의 CNN에서 주목할 또 다른 점은 출력에 가까운 층에서는 지금까지의 'Affine-ReLU'구성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또, 마지막 출력 계층에서는 'Affine-Softmax'조합을 그대로 사용합니다. 이상은 일반적인 CNN에서 흔히 볼수 있는 구성입니다.
7.2 합성곱 계층
CNN에서는 패딩(padding), 스트라이드(stride)등 CNN 고유의 용어가 등장합니다. 또 각 계층 사이에는 3차원 데이터 같이 입체적인 데이터가 흐른다는 점에서 완전 연결 신경망과 다릅니다. 그래서 CNN을 처음 배울 때는 어렵게 느낄지도 모르지만 이책이 있으니 걱정은 넣어두셔도 좋습니다. 우선 이번 절에서는 CNN 에서 사용하는 합성곱 계층의 구조를 차분히 살펴보기로 하겠습니다.
7.2.1 완전연결 계층의 문제점
지금까지 본 완전연결 신경망에서는 완전연결 계층(Affine 계층)을 사용했습니다. 완전 연결 계층에서는 인접하는 계층의 뉴런이 모두 연결되고 출력의 수는 임의로 정할 수 있습니다.
완전연결 계층의 문제점은 무엇일까요? 바로 '데이터의 형상이 무시'된다는 사실입니다. 입력데이터가 이미지인 경우를 예로 들면, 이미지는 통상 세로.가로.채널(색상)으로 구성된 3차원 데이터입니다. 그러나 완전연결 계층에 입력할 때는 3차원 데이터를 평평한 1차원 데이터로 평타화해줘야 합니다. 사실 지금까지의 MNIST 데이터셋을 사용한 사례에서는 현상이 (1, 28, 28)인 이미지(1채널, 세로28픽셀, 가로 28픽셀)를 1줄로 세운 784개의 데이터를 첫 Affine 계층에 입력했습니다.
이미지는 3차원 형상이며, 이 형사에는 소중한 공간적 정보가 담겨 있죠. 예를 들어 공간적으로 가까운 픽셀은 값이 비슷하거나, RGB의 각 체널은 서로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거나, 거리가 먼 픽셀끼리는 별 연관이 없는 등, 3차원 속에서 의미를 갖는 본질적인 패턴이 숨어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완전 연결 계층은 형상을 무시하도 모든 입력 데이터를 동등한 뉴런(같은 차원의 뉴런)으로 취급하여 형상에 담긴 정보를 살릴수 없습니다.
한편, 합성곱 계층은 형상을 유지합니다. 이미지도 3차원 데이터로 입력받으며, 마찬가지로 다음 계층에도 3차원 데이터로 전달합니다. 그래서 CNN에서는 이미지처럼 형상을 가진 데이터를 제대로 이해할 (가능성이 있는)것 입니다.
CNN에서는 합성곱 계층의 입출력 데이터를 특징 맵(feature map)이라고도 합니다. 합성곱 계층의 입력 데이터를 입력 특징 맵(input feature map), 출력 데이터를 출력 특징 맵(output feature map)이라고 하는 식이죠. 이 책에서는 '입출력 데이터'와 '특징 맵'을 같은 의미로 사용합니다.
7.2.2 합성곱 연산
합성곱 계층에서의 합성곱 연산을 처리합니다. 합성곱 연산은 이미지 처리에서 말하는 필터 연산에 해당하죠. 구체적인 예를 보며 설명하겠습니다.
그림 7-3 합성곱 연산의 예:합성곱 연산을 (*)기호로 표기
[그림 7-3]과 같이 합성곱 연산은 입력 데이터에 필터를 적용합니다. 이 예에서 입력 데이터는 세로.가로 방향의 형상을 가졌고, 필터 역시 세로.가로 방향의 차원을 갖습니다. 데이터와 필터의 형상을 (높이height, 너비width)로 표기하며, 이 예에서는 입력은 (4,4), 필터는 (3,3),출력은 (2,2)가 됩니다. 문헌에 따라 필터를 커널이라 칭하기도 합니다.
그럼[그림 7-3]의 합성곱 연산 예에서 어떤 계산이 이뤄지는지 설명하겠습니다.[그림 7-4]는 이 합성곱 연산의 계산 순서를 그려본 것입니다.
합성곱 연산은 필터의 원도우window를 일정 간격으로 이동해가며 입력 데이터에 적용합니다. 여기에서 말하는 원도우는 [그림 7-4]의 회색 3*3 부분을 가리킵니다. 이 그림에서 보듯 입력과 필터에서 대응하는 원소끼지 곱한 후 그 총합을 구합니다( 이계산을 단일 곱셈-누산fused multiply-add, FMA이라 합니다). 그리고 그 결과를 출력의 해당 장소에 저장합니다. 이 과정을 모든 장소에서 수행하면 합성곡 연산의 출력이 완성됩니다.
자, 완전연결 신경망에서는 가중치 매개변화와 편향이 존재하는데, CNN에서는 필터의 매개변수가 그동안의 '가중치'에 해당합니다. 그리고 CNN에서 편향이 존재합니다. [그림 7-3]은 필터를 적용하는 단계까지만 보여준 것이고, 편향까지 포함하면 [그림 7-5]와 같은 흐름이 됩니다.
[그림 7-5]와 같이 편향은 필터를 적용한 후의 데이터에 더해집니다. 그리고 편향은 항상 하나(1*1)만 존재합니다. 그 하나의 값을 필터를 적용한 모든 원소에 더하는 것이죠.
7.2.3 패딩
합성곱 연산을 수행하기 전에 입력 데이터 주변을 특정 값(예컨대 0)으로 채우기도 합니다. 이를 패딩(padding)이라 하며, 합성곱 연산에서 자주 이용하는 기법입니다. 예를 들어 [그림 7-6]은 (4,4)크기의 입력 데이터에폭이 1인 패딩을 적용한 모습입니다. 폭 1짜리 패딩이라 하면 입력 데이터 사방 1픽셀을 특정 값으로 채우는 것이죠.
[그림 7-6]과 같이 처음에 크기가 (4,4)인 입력 데이터에 패딩이 추가되어 (6,6)이 됩니다. 이 입력에 (3,3) 크기의 필터를 걸면(4,4) 크기의 출력 데이터가 생성됩니다. 이 예에서는 패딩을 1로 설정했지만, 2나 3등 원하는 정수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만약 [그림 7-5]에 패딩을 2로 설정하면 입력 데이터의 크기는 (8,8)이 되고 3으로 설정하면 (10,10)이 됩니다.
note
패딩은 주로 출력 크기를 조정할 목적으로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4,4)입력 데이터에 (3,3)필터를 적용하면 출력은 (2,2)가 되어, 입력보다 2만큼 줄어듭니다. 이는 합성곱 연산을 몇 번이나 되풀이하는 심층 신경망에서는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합성곱 연산을 거칠 때마다 크기가 작아지면 어느 시점에서는 출력 크기가 1이 되어버리겠죠, 더 이상의 합성곱 연산을 적용할 수 없다는 뜻입니다. 이러한 사태를 막기위해 피딩을 사용합니다. 앞의 예에서는 패딩의 폭을 1로 설정하니 (4,4)입력에 대한 출력이 같은 크기인 (4,4)로 유지되었습니다. 한마디로 입력 데이터의 공간적 크기를 고정한 채로 다음 계층에 전달할 수 있습니다.
7.2.4 스트라이드
필터를 적용하는 위치의 간격을 스트라이드(stride)라고 합니다. 지금까지 본 예는 모두 스트라이드가 1이었지만, 예를 들어 스트라이드를 2로 하면 필터를 적용하는 원도우가 두 칸씩 이동합니다.
[그림 7-7]에서는 크기가 (7,7)인 입력 데이터에 스트라이드를 2로 설정한 필터를 적용합니다. 이처럼 스트라이드는 필터를 적용하는 간격을 지정합니다.
그런데 스트라이드를 2로 하니 출력은 (3,3)이 되는 군요, 이처럼 스트라이드를 키우면 출력 크기는 작아집니다. 한편, 패딩을 크게하면 출력 크기가 커졌죠. 이러한 관계를 수식화하면 어떻게 될까요? 이어서 패딩, 스트라이드, 출력 크기를 어떻게 계산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입력 크기를 (H, W), 필터 크기를 (FH, FW), 출력 크기를 (OH, OW), 패딩을 P, 스트라이드를 S라 하면, 출력 크기는 다음 식으로 계산합니다.
OH = (H + 2P -FH)/S +1
OW = (W + 2P -FW)/S +1
그러면 이 식을 사용하여 연습을 좀 해봅시다.
예1: 입력:(4,4), 패딩:1, 스트라이드:1, 필터:(3,3)
OH = (4+2 * 1-3)/1 +1 = 4
OW = (4+2 * 1-3)/1 +1 = 4
예2:입력:(7,7), 패딩:0, 스트라이드:2, 필터:(3,3)
OH = (7+2*2-3)/2 +1 =3
OW = (7+2*2-3)/2 + 1 = 3
예3: 입력(28,31), 패딩:2, 스트라이드:3, 필터:(5,5)
OH = (28+2*2-5)/3 +1 = 10
OW = (31 + 2*2-5)/3 + 1 =11
이상의 예에서처럼[식 7.1]에 단순히 값을 대입하기만 하면 출력 크기를 구할 수 있습니다.
단,[식 7.1]의 (W + 2P -FW)/S 와 (H+2P-FH)/S가 정수로 나눠떨어지는 값이어야 한다는 점에 주의하세요.
* 출력 크기가 정수가 아니면 오류를 내는 등의 대응을 해줘야겠죠. 덧붙여서, 딥러닝 프레임워크 중에는 값이 딱 나눠떨어지지 않을 때는 가장 가까운 정수로 반올림하는 등, 특별히 에러를 내지 않고 진행하도록 구현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7.2.5 3차원 데이터의 합성곱 연산
지금까지 2차원 형상을 다루는 합성곱 연산을 살펴봤습니다. 그러나 이미지만 해도 세로.가로에 대해서 채널까지 고려한 3차원 데이터입니다. 이번 절에서는 조금 전과 같은 순서로, 채널까지 고려한 3차원 데이터를 다루는 합성곱 연산을 살펴보겠습니다.
[그림 7-8]은 3차원 데이터의 합성곱 연산 예입니다. 그리고 [그림 7-9]는 계산 순서입니다. 2차원일 때(그림 7-3)와 비교하면, 길이 방향(채널 방향)으로 특징 맵이 늘어났습니다. 채널쪽으로 특정 맵이 여러 개 있다면 입력 데이터와 필터의 합성곱 연산을 채널마다 수행하고, 그 결과를 더해서 하나의 출력을 얻습니다.
그림 7-8 3차원 데이터 합성곱 연산의 예
3차원의 합성곱 연산에서 주의할 점은 입력 데이터의 채널 수와 필터의 채널 수가 같아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 뎨에서는 모두 3개로 일치합니다. 한편, 필터 자체의 크기는 원하는 값으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단, 모든 채널의 필터가 같은 크기여야 합니다). 이 예에서는 필터의 크기가 (3,3)이지만, 원한다면(2,2)나 (1,1)또는 (5,5)등으로 설정해도 되는 것이죠. 다시 말하지만, 필터의 채널 수는 입력 데이터의 채널 수와 같도록(이 예에서는 3)설정해야 합니다.
7.2.6 블록으로 생각하기
3차원의 합성곱 연산은 데이터와 필터를 직육면ㅊ 블록이라고 생각하면 쉽습니다. 블록은[그림 7-10]과 같은 3차원 직육면체입니다. 또, 3차원 데이터를 다차원 배열로 나타낼 때는 (채널 channel, 높이height, 너비width)순서로 쓰겠습니다. 예를 들어 채널 수 C, 높이H, 너비W인 데이터의 형상은(C,H,W)로 씁니다. 필터로 같은 순서로 씁니다. 예를 들어 채널 수 C, 필터 높이 FH(Filter Height),필터 너비FW(Filter Width)의 경우(C,FH, FW)로 씁니다.
그림 7-10 합성곱 연산을 직육면체 블록으로 생각한다. 블록의 형상에 주의할 것!
(C,H,W) * (C,FH,FW) --> (1, OH, OW)
자, 이 예에서 출력 데이터는 한 장의 특정 맵입니다. 한 장의 특징 맵을 다른 말로 하면 채널이 1개인 특징 맵이죠. 그럼 합성곱 연산의 출력으로 다수의 채널을 내보내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그 답은 필터(가중치)를 다수 사용하는 것입니다. 그림으로 [그림 7-11]처럼 됩니다.
이 그림과 같이 필터를 FN개 적용하면 출력 맵도 FN개가 생성됩니다. 그리고 그 FN개의 맵을 모이면 형상이 (FN, OH, OW)인 블록이 완성됩니다. 이 완성된 블록을 다음 계층으로 넘기겠다는 것이 CNN의 처리 흐름입니다.
이상에서 보듯 합성곱 연산에서는 필터의 수도 고려해야 합니다. 그런 이유로 필터의 가중치 데이터는 4차원 데이터이며(출력 채널 수, 입력 채널 수, 높이, 너비)순으로 씁니다. 예를 들어 채널 수 3, 크기 5*5인 필터가 20개 있다면 (20, 3, 5,5)로 씁니다.
자, 합성곱 연산에도 (와전연결 계층과 마찬가지로)편향이 쓰입니다.[그림 7-12]은 [그림 7-11]에 편향을 더한 모습입니다.
[그림 7-12]에서 보듯 편향은 채널 하나에 값 하나씩으로 구성됩니다. 이 예에서는 편향의 형상은 (FN,1,1)이고, 필터의 출력 결과의 현상은(FN, OH, OW)입니다. 이를 두 블록을 더하면 편향의 각 값이 필터의 출력인(FN, OH, OW)블록의 대응 채널의 원소 모두에 더해집니다. 참고로, 현상이 다른 블록의 덧셈은 넘파이의 브로드캐스트 기능으로 쉽게 구현할 수 있습니다.
7.2.7 배치 처리
신경망 처리에서는 입력 데이터를 한 덩어리로 묶어 배치로 처리했습니다. 완전연결 신경망을 구현하면서는 이 방식을 지원하여 처리 효율을 높이고, 미니배치 방식의 학습도 지원하도록 했습니다.
합성곱 연산도 마찬가지로 배치 처리를 지원하고자 합니다. 그래서 각 계층을 흐르는 데이터의 차원을 하나 늘려 4차원 데이터로 저장합니다. 구체적으로는 데이터를 (데이터 수, 채널 수, 높이, 너비)순으로 저장합니다. 데이터가 N개일 때[그림 7-12]를 배치 처리한다면 데이터 형태가 [그림 7-13]처럼 되는 것이죠.
배치 처리 시의 데이터 흐름을 나타낸[그림 7-13]을 보면 각 데이터의 선두에 배치용 차원을 추가했습니다. 이처럼 데이터는 4차원 형상을 가진 채 각 계층을 타고 흐릅니다. 여기에서 주의할 점으로는 신경망에 4차원 데이터가하나 흐를때마다 데이터 N개에 대한 합성곱 연산이 이뤄진다는 것입니다. 즉 N회 분의 처리를 한 번에 수행하는 것이죠.
7.3 풀링 계층
풀링은 세로.가로 방향의 공간을 줄이는 연산입니다. 예를 들어 [그림 7-14]와 같이 2*2영역을 원소 하나로 집약하여 공간 크기를 줄입니다.
그림 7-14 최대 폴링의 처리 순서
[그림 7-14]는 2*2 최대 폴링(max pooling,맥스 폴링)을 스트라이드 2로 처리하는 순서입니다. 최대 폴링은 최댓값max을 구하는 연산으로, '2*2'는 대상 영역의 크기를 뜻합니다. 즉 2*2 최대 폴링은 그림과 같이 2*2크기의 영역에서 가장 큰 원소 하나를 꺼냅니다. 또, 스트라이드는 이 예에서는 2로 설정했으므로 2*2 원도우가 원소 2칸 간격으로 이동합니다. 참고로, 폴링의 원도우 크기와 스트라이드는 같은 값으로 설정하는 것이 보통입니다. 예를 들어 원도우가 3*3이면 스트라이드는 2으로, 원도우가 4*4이면 스트라이드를 4로 설정합니다.
WARING
폴링은 최대 폴링 외에도 평균 폴링(average pooling)등이 있습니다. 최대폴링은 대상 영역에서 최댓값을 취하는 연산인 반면, 평균 폴링은 대상 영역의 평균을 계산합니다. 이미지 인식 분야에서는 주로 최대 폴링을 사용합니다. 그래서 이 책에서 폴링 계층이라고 하면 최대 폴링을 말하는 것 입니다.
7.2.1 폴링 계층의 특징
폴링 계층의 특징은 무엇일까요?
학습해야 할 매개변수가 없다
풀링 계층은 합성곱 계층과 달리 학습해야 할 매개변수가 없습니다. 폴링은 대상 영역에서 최댓값이나 평균을 취하는 명확한 처리이므로 특별히 학습할 것 이 없습니다.
채널 수가 변하지 않는다
풀링 연산은 입력 데이터의 채널 수 그대로 출력 데이터로 내보냅니다. [그림 7-15]처럼 채널마다 독립적으로 계산하기 때문입니다.
입력의 변화에 영향을 적게 받는다(강건하다)
입력 데이터가 조금 변해도 폴링의 결과는 잘 변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그림 7-16]은 입력 데이터의 차이(데이터가 오른쪽으로 1칸씩 이동)를 폴링이 흡수해 사라지게 하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7.4 합성곱/폴링 계층 구현하기
지금까지 합성곱 계층과 폴링 계층에 대해 자세히 설명했습니다. 이번 절에서는 이들 두 계층을 파이썬으로 구현해보겠습니다. "5장 오차역전파법"에서 설명한 것처럼 이번 절에서 구현하는 클래스에도 forward와 backward메소드를 추가하여 모듈로 이용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합성곱 계층과 폴링 계층은 복잡해 보이지만, 사실 '트릭'을 사용하면 쉽게 구현할 수있습니다. 이번 절에서는 그 트릭을 활용해 문제를 간단히 하면서 합성곱 계층을 구현해 보겠습니다.
7.4.1 4차원 배열
앞에서 설명한 대로 CNN에서 계층 사이를 흐르는 데이터는 4차원입니다. 예를 들어 데이터의 형상이 (10, 1, 28, 28)이라면, 이는 높이 28, 너비 28, 채널1개인 데이터가 10개라는 이야기 입니다. 이를 파이썬으로 구현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x = np.random.rand(10, 1, 28, 28) #무작위로 데이터 생성
>>> x.shape
(10, 1, 28, 28)
여기에서 (10개 중) 첫번째 데이터에 접근하려면 단순히 x[0]이라고 씁니다(파이썬의 인덱스는 0부터 시작합니다). 마찬가지로 두 번째 데이터는 x[1] 위치에 있습니다.
>>>x[0].shape #(1, 28, 28)
>>>x[1].shape #(1, 28, 28)
또, 첫 번째 데이터의 첫 채널의 공간 데이터에 접근하려면 다음과 같이 적습니다.
>>> x[0,0] #또는 x[0][0]
이처럼 CNN은 4차원 데이터를 다룹니다. 그래서 합성곱 연산의 구현은 복잡해질 것 같지만, 다음 절에서 설명하는 im2col이라는 '트릭'이 문제를 단순하게 만들어 줍니다.
7.4.2 im2col로 데이터 전개하기
합성곱 연산을 곧이곧대로 구현하려면 for문을 겹겹이 써야겠죠. 생각만 해도 궈찮고, 또 넘파이에 for문을 사용하면 성능이 떨어진다는 단점도 있습니다(넘파이에서는 원소에 접근할 때 for문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이번 절에서는 for 문 대신 im2col이라는 편의 하수를 사용해 간단하게 구현해 보겠습니다.
im2col은 입력 데이터를 필터링(가중치 계산)하기 좋게 전개하는(펼치는)함수입니다. [그림 7-17]과 같이 3차원 입력 데이터에 im2col을 적용하면 2차원 행렬로 바뀝니다(정확히는 배치 안의 데이터 수까지 포함한 4차원 데이터를 2차원으로 변환합니다).
im2col은 필터링하기 좋게 입력 데이터를 전개합니다. 구체적으로 [그림 7-18]과 같이 입력 데이터에서 필터를 적용하는 영역(3차원 블록)을 한 줄로 늘어 놓습니다. 이 전개를 필터를 적용하는 모든 영역에서 수행하는게 im2col입니다.
[그림 7-18]에서는 보기에 좋게끔 스트라이드를 크게 잡아 필터의 적용 영역이 겹치지 않도록 했지만, 실제 상황에서는 영역이 겹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필터 적용 영역이 겹치게 되면 im2col로 전개한 후의 원소 수가 원래 블록의 원소 수보다 많아집니다. 그래서 im2col을 사용해 구현하면 메모리를 더 많이 소비하는 단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컴퓨터는 큰 행렬을 묶어서 계산하는 데 탁월합니다. 예를 들어 행렬 계산 라이브러리(선형 대수 라이브러리)등은 행렬 계산에 고도로 최적화되어 큰 행렬의 곱셈을 빠르게 계산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문제를 행렬 계산으로 만드면 선형 대수 라이브러리를 활용해 효율을 높일 수 있습니다.
NOTE
im2col은 "image to column", 즉 '이미지에서 행렬로'라는 뜻입니다. 카페Caffe와 체이너Chainer등의 딥러닝 프레임워크는 im2col이라는 이름의 하수를 만들어 합성곱 계층을 구현할 때 이용하고 있습니다.
im2col로 입력 데이터를 전재한 다음에는 합성곱 계층의 필터(가중치)를 1열로 전재하고, 두 행렬의 내적을 계산하면 됩니다(그림 7-19), 이는 완전연결 계층의 Affine 계층에서 한 것과 거의 같습니다.
그림 7-19 합성곱 연산의 필터 처리 상세 과정: 필터를 세로로 1열로 전개하고, im2col이 전개한 데이터와 행렬 내적을 계산합니다. 마지막으로 출력 데이터를 변형(reshape)합니다.
[그림 7-19]와 같이 im2col방식으로 출력한 결과는 2차원 행렬입니다. CNN은 데이터를 4차원 배렬로 저장하므로 2차원 출력 데이터를 4차원으로 변형reshape합니다. 이상의 합성곱 계층의 구현 흐름입니다.
7.4.3 합성곱 계층 구현하기
이 책에서는 im2col 함수를 미리 만들어 제공합니다. 사실 그 구현은 간단한 함수 10개 정도를 묶은 것이니, 궁금한 분은 common/util.py 를 참고하세요.
자, im2col 함수의 인터페이스는 다음과 같습니다.
im2col(input_data, filter_h, filter_w, stride=1, pad=0)
-input_data - (데이터 수, 채널 수, 높이, 너비)의 4차원 배열로 이뤄진 입력 데이터
-filter_h -필터의 높이
-filter-w -필터의 너비
- stride - 스트라이드
- pad - 패딩
이 im2col은 '필터 크기', '스트라이드', '패딩'을 고려하여 입력 데이터를 2차원 배열로 전개합니다. 그러면 이 im2col을 실제로 사용해 봅시다.
import sys, os
sys.path.append(os.pardir)
from common.util import im2col
x1 = np.random.rand(1,3,7,7) #(데이터 수, 채널 수, 높이, 너비)
col1 = im2col(x1, 5, 5, stride=1, pad=0)
print(col1.shape) #(9, 75)
x2 = np.random.rand(10, 3, 7, 7) # 데이터 10개
col2 = im2col(x2, 5, 5, stride=1, pad =0)
print(col2.shape) # (90, 75)
class Convolution:
def __init__(self, W, b, stride=1, pad=0):
self.W = W
self.b = b
self.stride = stride
self.pad = pad
def forward(self, x):
FN, C, FH, FW = self.W.shape
N, C, H,W = x.shape
out_h = int(1 + (H + 2*self.pad - FH)/self.stride)
out_w = int(1 + (W + 2*self.pad - FW)/self.stride)
col = im2col(x, FH, FW, self.stride, self.pad)
col_W = self.W.reshape(FN, -1).T #필터 전개
out = np.dot(col, col_W) + self.b
out = out.reshape(N, out_h, out_w, -1).transpose(0, 3, 1, 2)
return out
합성곱 계층은 필터(가중치), 편향, 스트라이드, 패딩을 인수로 받아 초기화합니다. 필터는 (FN, C, FH, FW)의 4차원 형상입니다. 여기서 FN은 필터 개수, C는 채널, FH는 필터 높이, FW는 필터 너비 입니다.
앞의 합성곱 구현 코드에서 중요한 부분을 굵게 표시했습니다. 이 부분에서 입력 데이터를 im2col로 전개하고 필터도 reshape을 사용해 2차원 배열로 전개합니다. 그리고 이렇게 전개한 두 행렬의 내적을 구합니다.
필터를 전개하는 부분(코드 중 굵은 글씨)은 [그림 7-19]에서 보듯 각 필터 블록을 1줄로 펼쳐 세웁니다. 이때 reshape의 두 번째 인수를 -1로 지정했는데, 이는 reshape의 제공하느 ㄴ편의 기능입니다. reshape에 -1을 지정 하면 다차원 배열의 원소 수가 변환 후에도 똑같이 유지되도록 적절히 묶어줍니다. 무슨 말인고 하니, 앞의 코드에서 (10, 3, 5,5) 형상을 한 다차원 배열 W의 원소 수는 총 750개죠? 이 배열 reshape(10, -1)을 호출하면 750개의 원소를 10묶음으로, 즉 형상이 (10, 75)인 배열로 만들어줍니다.
다음으로 forward 구현의 마지막에서는 출력데이터를 적절한 현상으로 바꿔줍니다. 이때 넘파이의 transpose 함수를 사용하는데, 이는 다차원 배열의 순서를 바꿔주는 함수입니다.
[그림 7-20]과 같이 인텍스(0부터 시작)를 지정하여 축의 순서를 변경합니다.
그림 7-20 넘파이의 transpose함수로 축 순서 변경하기:인텍스(번호)로 축의 순서를 변경한다.
현상 ( N, H, W, C) ----------> ( N, C, H, W )
인텍스 0, 1, 2, 3 0, 3, 1, 2
이상이 합성곱 계층의 forward 구현입니다. im2col로 전개한 덕분에완전연결 계층의 Affine 계층과 거의 똑같이 구현할 수 있었습니다("5.6 Affine/Softmax 계층 구현하기" 참고).
다음은 합성곱 계층의 역전파를 구현할 차례지만, Affine 계층의 공통점이 많아 따로 설명하지 않겠습니다. 주의할 게 하나 있는데, 합성곱 계층의 연전파에서는 im2col을 역으로 처리해야 합니다. 이는 책이 제공하는 col2im 함수를 사용하면 됩니다(col2im의 구현은 common/util.py에 있습니다). col2im을 사용한다는 점을 제외하면 합성곱 계층의 역전파는 Affine 계층와 똑 같습니다. 합성곱 계층의 연전파 구현은 common/layer.py 에 있으니 궁금한 분은 참고하세요.
7.4.4 폴링 계층 구현하기
풀링 계층 구현도 합성곱 계층과 마찬기지로 im2col을 사용해 입력 데이터를 전개합니다. 단, 폴링의 경우엔 채널 쪽이 독립적이라는 점이 합성곱 계층 때와 다릅니다. 구체적으로 [그림 7-21]과 같이 폴링 적용 영역을 채널마다 독립적으로 전개 합니다.
그림 7-21 입력 데이터에 폴링 적용 영역을 전개(2*2 폴링의 예)
일단 이렇게 전개한 후, 전개한 행렬에서 행별 최댓값을 구하고 적절한 형상으로 성형하기만 하면 됩니다(그림 7-22).
그림 7-22 풀링 계층 구현의 흐름: 풀링 적용 영역에서 가장 큰 원소는 회색으로 표시
이상이 폴링 계층의 forward 처리 흐름입니다. 다음은 이를 파이썬으로 구현한 코드 입니다.
class Pooling:
def __init__(self, pool_h, pool_w, stride=1, pad=0):
self.pool_h = pool_h
self.pool_w = pool_w
self.stride = stride
self.pad = pad
def forward(self, x):
N, C, H, W = x.shape
out_h = int(1 + (H - self.pool_h)/self.stride)
out_w = int(1 + (W - self.poll_w)/self.stride)
#전개 (1)
col = im2col(x, self.pool_h, self.pool_h, self.stride, self.pad)
col = col.reshape(-1, self.poo_h * self.pool_w)
#최대값 (2)
out = np.max(col, axis=1)
#성형 (3)
out = out.reshape(N, out_h, out_w, C).transpose(0, 3, 1, 2)
return out
풀링 계층 구현은 [그림 7-22]와 같이 다음의 세 단계로 진행합니다.
1. 입력 데이터를 전개한다.
2. 행별 최댔값을 구한다.
3. 적절한 모양으로 성형한다.
앞의 코드에서와 같이 각 단계는 한두줄 정도로 간단히 구현됩니다.
NOTE
최댓값 계산에는 넘파이의 np.max 메서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np.max는 인수로 축(axis)을 지정할 수 있는데, 이 인수로 지정한 축마다 최댓값을 구할 수 있습니다. 가령 np.max(x.axis=1)과 같이 쓰면 입력 x의 1번째 차원의 축마다 최댓값을 구합니다.
이상이 풀링 계층의 forwad처리입니다. 이 절에서 선택한 전략을 따라 입력 데이터를 풀링하기 쉬운 형태로 전개해버리면 그 후의 구현은 간단합니다.
풀링 계층의 backward 처리는 관련 사항을 이미 설명했으니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합니다.
ReLU 계층을 구현할 때 사용한 max의 역전파를 참고하세요("5.5.1 ReLU계층"). 풀링 계층의 전체 구현은 common/layer.py에 있으니 궁금하신 분은 한번 살펴보세요.
7.5 CNN 구현하기
합성곱 계층과 풀링 계층을 구현했으니, 이들 계층을 조합하여 손글씨 숫자를 인식하는 CNN을 조립해 보겠습니다. 여기에서는 [그림 7-23]과 같은 CNN을 구현합니다.
그림 7-23
2-> Conv->ReLU->Pooling --> Affine->ReLu--> Affine->Sorfmax-->
이 그림의 CNN 네트워크는 "Convolution-ReLU-Pooling-Affine-ReLU-Affine-Softmx" 순으로 흐릅니다. 이를 SimpleConvNet이라는 이름의 클래스로 구현하겠습니다.
우선 SimpleConvNet의 초기화(__init__)를 살펴봅시다. 초기화 때는 다음 인수들을 받습니다.
초기화 때 받는 인수
- input_dim - 입력 데이터(채널 수, 높이, 너비)의 차원
- conv_param - 합성곱 계층의 하이퍼파라미터(딕셔너리). 딕셔너리의 키는 다음과 같다.
-- filter_num - 필터수
-- filter_size - 필터 크기
-- stride - 스트라이드
-- pad - 패딩
- hidden_size - 은닌층(완전연결)의 뉴런수
- output_size - 출력층(완전연결)의 뉴런수
- weight_init_std - 초기화 때의 가중치 표준편차
여기에서 합성곱 계층의 하이퍼파라미터는 딕셔너리 형태로 주어집니다(conv_param).
이것은 필요한 하이퍼파라미터의 값이 예컨대 {'filter_num':30, 'filter_size':5, 'pad':0, 'stride':1}처럼 저장된다는 뜻입니다.
자, SimpleConvNet의 초기화는 코드가 좀 길어지므로 세 부분으로 나눠 설명하겠습니다. 다음은 그 중 첫번재 입니다.
여기에서는 초기화 인수로 주어진 합성곱 계층의 하이퍼파라미터를 딕셔너리에서 꺼냅니다(나중에 쓰기 쉽도록). 그리고 합성곱 계층의 출력 크기를 계산합니다. 이어서 다음 코드는 가중치 매개변수를 초기화하는 부분입니다.
학습에 필요한 매개변수는 1번째 층의 합성곱 계층과 나머지 두 완전연결 계층의 가중치와 편향입니다. 이들 매개변수를 인스턴스 변수 params 딕셔너리에 저장합니다. 1번째 층의 합성곱 계층의 가중츠를 W1, 편향을 b1 이라는 키로 저장합니다. 마찬가지로 2번째 층의 완전연결 계층의 가중치와 편향을 W2와 b2, 마지막 3번째 층의 완전연결 계층의 가중치와 편향을 W3와 b3라는 키로 각각 저장합니다.
마지막으로 CNN을 구성하는 계층들을 생성합니다.
순서가 있는 딕셔너리(OrderedDict)인 layers에 계층들을 차례로 추가합니다. 마지막 SoftmaxWithLoss 계층만큼은 last_layer라는 별도 변수에 저장해둡니다.
이상이 SimpleConvNet의 초기화입니다. 이렇게 초기화를 마친 다음에는 추론을 수행하는 predict메소드와 손실함수의 값을 구하는 loss메서드를 다음과 같이 구현할 수 있습니다.
이 코드에서 인수 x는 입력 데이터, t는 정답 레이블입니다. 추론을 수행하는 predict 메소드는 초기화 때 layers에 추가한 계층을 맨 앞에서부터 차례로 forward 메소드를 호출하며 그 결과를 다음 계층에 전달합니다. 손실 함수를 구하는 loss 메소드는 predict메소드의 결과를 인수로 마지막 층의 forward메소드를 호출합니다. 즉, 첫 계층부터 마지막 계층까지 forward를 처리합니다.
이어서 오차역전파법으로 기울기를 구하는 구현은 다음과 같습니다.
7.1 전체 구조
우선 CNN의 네트워크 구조를 살펴보며 전체 틀을 이해해보기로 하죠, CNN도 지금까지 본 신경망과 같이 레고 블록처럼 계층을 조합하여 만들 수 있습니다. 다만, 합성곱 계층(convolutional layer)과 폴링 계층(pooling layer)이 새롭게 등장합니다. 합성곱 계층과 폴링 계층의 상세 내용은 잠시 후 설명하기로 하고, 이번 절에서는 어떻게 조합하여 CNN을 만드는지를 먼저 보겠습니다.
지금까지 본 신경망은 인접하는 계층의 모든 뉴런과 결합되어 있었습니다. 이를 완전연결(fullyconnected,전결합)이라고 하며, 완전히 연결된 Affine 계층이라는 이름으로 구현했습니다. 이 Affine 계층을 사용하면, 가령 층이 5개인 완전연결 신경망은 [그림 7-1]과 같이 구현할 수 있습니다.
그림 7-1 완전연결 계층(Affine 계층)으로 이뤄진 네트워크의 예
2 -> affine -> Relu --> Affine->ReLU-->Affine->ReLU-->Affine->ReLU-->Affine-->Softmax
[그림7-1]과 같이 완전연결 신경망은 Affine 계층 뒤에 활성화 함수를 같는 ReLU계층(혹은 Sigmoid계층)이 이어집니다. 이 그림에서 Affine-ReLU조합이 4개가 쌓였고, 마지만 5번째 층은 Affine 계층에 이어 소프트맥스 계층에서 최종 결과(확률)를 출력합니다.
그림 7-2 CNN으로 이뤄진 네트워크의 예: 합성곱 계층과 폴링 계층이 새로 추가
2 ->Conv->ReLU->Pooling-->Conv->ReLU->Polling-->Conv->ReLU-->Affine->ReLU-->Affine->Sortmax-->
[그림 7-2]와 같이 CNN에서는 새로운 '합성곱 계층Conv'과 '폴링 계층Pooling'이 추가됩니다.
CNN의 계층은 'Conv-ReLU-(Pooling)'흐름으로 연결됩니다(폴링 계층는 생략하기도 합니다). 지금까지의 'Affine-ReLU'연결이 'Conv-ReLU-(Pooling)'으로 바뀌었다고 생각할 수 있겠죠.
[그림 7-2]의 CNN에서 주목할 또 다른 점은 출력에 가까운 층에서는 지금까지의 'Affine-ReLU'구성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또, 마지막 출력 계층에서는 'Affine-Softmax'조합을 그대로 사용합니다. 이상은 일반적인 CNN에서 흔히 볼수 있는 구성입니다.
7.2 합성곱 계층
CNN에서는 패딩(padding), 스트라이드(stride)등 CNN 고유의 용어가 등장합니다. 또 각 계층 사이에는 3차원 데이터 같이 입체적인 데이터가 흐른다는 점에서 완전 연결 신경망과 다릅니다. 그래서 CNN을 처음 배울 때는 어렵게 느낄지도 모르지만 이책이 있으니 걱정은 넣어두셔도 좋습니다. 우선 이번 절에서는 CNN 에서 사용하는 합성곱 계층의 구조를 차분히 살펴보기로 하겠습니다.
7.2.1 완전연결 계층의 문제점
지금까지 본 완전연결 신경망에서는 완전연결 계층(Affine 계층)을 사용했습니다. 완전 연결 계층에서는 인접하는 계층의 뉴런이 모두 연결되고 출력의 수는 임의로 정할 수 있습니다.
완전연결 계층의 문제점은 무엇일까요? 바로 '데이터의 형상이 무시'된다는 사실입니다. 입력데이터가 이미지인 경우를 예로 들면, 이미지는 통상 세로.가로.채널(색상)으로 구성된 3차원 데이터입니다. 그러나 완전연결 계층에 입력할 때는 3차원 데이터를 평평한 1차원 데이터로 평타화해줘야 합니다. 사실 지금까지의 MNIST 데이터셋을 사용한 사례에서는 현상이 (1, 28, 28)인 이미지(1채널, 세로28픽셀, 가로 28픽셀)를 1줄로 세운 784개의 데이터를 첫 Affine 계층에 입력했습니다.
이미지는 3차원 형상이며, 이 형사에는 소중한 공간적 정보가 담겨 있죠. 예를 들어 공간적으로 가까운 픽셀은 값이 비슷하거나, RGB의 각 체널은 서로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거나, 거리가 먼 픽셀끼리는 별 연관이 없는 등, 3차원 속에서 의미를 갖는 본질적인 패턴이 숨어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완전 연결 계층은 형상을 무시하도 모든 입력 데이터를 동등한 뉴런(같은 차원의 뉴런)으로 취급하여 형상에 담긴 정보를 살릴수 없습니다.
한편, 합성곱 계층은 형상을 유지합니다. 이미지도 3차원 데이터로 입력받으며, 마찬가지로 다음 계층에도 3차원 데이터로 전달합니다. 그래서 CNN에서는 이미지처럼 형상을 가진 데이터를 제대로 이해할 (가능성이 있는)것 입니다.
CNN에서는 합성곱 계층의 입출력 데이터를 특징 맵(feature map)이라고도 합니다. 합성곱 계층의 입력 데이터를 입력 특징 맵(input feature map), 출력 데이터를 출력 특징 맵(output feature map)이라고 하는 식이죠. 이 책에서는 '입출력 데이터'와 '특징 맵'을 같은 의미로 사용합니다.
7.2.2 합성곱 연산
합성곱 계층에서의 합성곱 연산을 처리합니다. 합성곱 연산은 이미지 처리에서 말하는 필터 연산에 해당하죠. 구체적인 예를 보며 설명하겠습니다.
그림 7-3 합성곱 연산의 예:합성곱 연산을 (*)기호로 표기
[그림 7-3]과 같이 합성곱 연산은 입력 데이터에 필터를 적용합니다. 이 예에서 입력 데이터는 세로.가로 방향의 형상을 가졌고, 필터 역시 세로.가로 방향의 차원을 갖습니다. 데이터와 필터의 형상을 (높이height, 너비width)로 표기하며, 이 예에서는 입력은 (4,4), 필터는 (3,3),출력은 (2,2)가 됩니다. 문헌에 따라 필터를 커널이라 칭하기도 합니다.
그럼[그림 7-3]의 합성곱 연산 예에서 어떤 계산이 이뤄지는지 설명하겠습니다.[그림 7-4]는 이 합성곱 연산의 계산 순서를 그려본 것입니다.
합성곱 연산은 필터의 원도우window를 일정 간격으로 이동해가며 입력 데이터에 적용합니다. 여기에서 말하는 원도우는 [그림 7-4]의 회색 3*3 부분을 가리킵니다. 이 그림에서 보듯 입력과 필터에서 대응하는 원소끼지 곱한 후 그 총합을 구합니다( 이계산을 단일 곱셈-누산fused multiply-add, FMA이라 합니다). 그리고 그 결과를 출력의 해당 장소에 저장합니다. 이 과정을 모든 장소에서 수행하면 합성곡 연산의 출력이 완성됩니다.
자, 완전연결 신경망에서는 가중치 매개변화와 편향이 존재하는데, CNN에서는 필터의 매개변수가 그동안의 '가중치'에 해당합니다. 그리고 CNN에서 편향이 존재합니다. [그림 7-3]은 필터를 적용하는 단계까지만 보여준 것이고, 편향까지 포함하면 [그림 7-5]와 같은 흐름이 됩니다.
[그림 7-5]와 같이 편향은 필터를 적용한 후의 데이터에 더해집니다. 그리고 편향은 항상 하나(1*1)만 존재합니다. 그 하나의 값을 필터를 적용한 모든 원소에 더하는 것이죠.
7.2.3 패딩
합성곱 연산을 수행하기 전에 입력 데이터 주변을 특정 값(예컨대 0)으로 채우기도 합니다. 이를 패딩(padding)이라 하며, 합성곱 연산에서 자주 이용하는 기법입니다. 예를 들어 [그림 7-6]은 (4,4)크기의 입력 데이터에폭이 1인 패딩을 적용한 모습입니다. 폭 1짜리 패딩이라 하면 입력 데이터 사방 1픽셀을 특정 값으로 채우는 것이죠.
[그림 7-6]과 같이 처음에 크기가 (4,4)인 입력 데이터에 패딩이 추가되어 (6,6)이 됩니다. 이 입력에 (3,3) 크기의 필터를 걸면(4,4) 크기의 출력 데이터가 생성됩니다. 이 예에서는 패딩을 1로 설정했지만, 2나 3등 원하는 정수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만약 [그림 7-5]에 패딩을 2로 설정하면 입력 데이터의 크기는 (8,8)이 되고 3으로 설정하면 (10,10)이 됩니다.
note
패딩은 주로 출력 크기를 조정할 목적으로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4,4)입력 데이터에 (3,3)필터를 적용하면 출력은 (2,2)가 되어, 입력보다 2만큼 줄어듭니다. 이는 합성곱 연산을 몇 번이나 되풀이하는 심층 신경망에서는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합성곱 연산을 거칠 때마다 크기가 작아지면 어느 시점에서는 출력 크기가 1이 되어버리겠죠, 더 이상의 합성곱 연산을 적용할 수 없다는 뜻입니다. 이러한 사태를 막기위해 피딩을 사용합니다. 앞의 예에서는 패딩의 폭을 1로 설정하니 (4,4)입력에 대한 출력이 같은 크기인 (4,4)로 유지되었습니다. 한마디로 입력 데이터의 공간적 크기를 고정한 채로 다음 계층에 전달할 수 있습니다.
7.2.4 스트라이드
필터를 적용하는 위치의 간격을 스트라이드(stride)라고 합니다. 지금까지 본 예는 모두 스트라이드가 1이었지만, 예를 들어 스트라이드를 2로 하면 필터를 적용하는 원도우가 두 칸씩 이동합니다.
[그림 7-7]에서는 크기가 (7,7)인 입력 데이터에 스트라이드를 2로 설정한 필터를 적용합니다. 이처럼 스트라이드는 필터를 적용하는 간격을 지정합니다.
그런데 스트라이드를 2로 하니 출력은 (3,3)이 되는 군요, 이처럼 스트라이드를 키우면 출력 크기는 작아집니다. 한편, 패딩을 크게하면 출력 크기가 커졌죠. 이러한 관계를 수식화하면 어떻게 될까요? 이어서 패딩, 스트라이드, 출력 크기를 어떻게 계산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입력 크기를 (H, W), 필터 크기를 (FH, FW), 출력 크기를 (OH, OW), 패딩을 P, 스트라이드를 S라 하면, 출력 크기는 다음 식으로 계산합니다.
OH = (H + 2P -FH)/S +1
OW = (W + 2P -FW)/S +1
그러면 이 식을 사용하여 연습을 좀 해봅시다.
예1: 입력:(4,4), 패딩:1, 스트라이드:1, 필터:(3,3)
OH = (4+2 * 1-3)/1 +1 = 4
OW = (4+2 * 1-3)/1 +1 = 4
예2:입력:(7,7), 패딩:0, 스트라이드:2, 필터:(3,3)
OH = (7+2*2-3)/2 +1 =3
OW = (7+2*2-3)/2 + 1 = 3
예3: 입력(28,31), 패딩:2, 스트라이드:3, 필터:(5,5)
OH = (28+2*2-5)/3 +1 = 10
OW = (31 + 2*2-5)/3 + 1 =11
이상의 예에서처럼[식 7.1]에 단순히 값을 대입하기만 하면 출력 크기를 구할 수 있습니다.
단,[식 7.1]의 (W + 2P -FW)/S 와 (H+2P-FH)/S가 정수로 나눠떨어지는 값이어야 한다는 점에 주의하세요.
* 출력 크기가 정수가 아니면 오류를 내는 등의 대응을 해줘야겠죠. 덧붙여서, 딥러닝 프레임워크 중에는 값이 딱 나눠떨어지지 않을 때는 가장 가까운 정수로 반올림하는 등, 특별히 에러를 내지 않고 진행하도록 구현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7.2.5 3차원 데이터의 합성곱 연산
지금까지 2차원 형상을 다루는 합성곱 연산을 살펴봤습니다. 그러나 이미지만 해도 세로.가로에 대해서 채널까지 고려한 3차원 데이터입니다. 이번 절에서는 조금 전과 같은 순서로, 채널까지 고려한 3차원 데이터를 다루는 합성곱 연산을 살펴보겠습니다.
[그림 7-8]은 3차원 데이터의 합성곱 연산 예입니다. 그리고 [그림 7-9]는 계산 순서입니다. 2차원일 때(그림 7-3)와 비교하면, 길이 방향(채널 방향)으로 특징 맵이 늘어났습니다. 채널쪽으로 특정 맵이 여러 개 있다면 입력 데이터와 필터의 합성곱 연산을 채널마다 수행하고, 그 결과를 더해서 하나의 출력을 얻습니다.
그림 7-8 3차원 데이터 합성곱 연산의 예
3차원의 합성곱 연산에서 주의할 점은 입력 데이터의 채널 수와 필터의 채널 수가 같아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 뎨에서는 모두 3개로 일치합니다. 한편, 필터 자체의 크기는 원하는 값으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단, 모든 채널의 필터가 같은 크기여야 합니다). 이 예에서는 필터의 크기가 (3,3)이지만, 원한다면(2,2)나 (1,1)또는 (5,5)등으로 설정해도 되는 것이죠. 다시 말하지만, 필터의 채널 수는 입력 데이터의 채널 수와 같도록(이 예에서는 3)설정해야 합니다.
7.2.6 블록으로 생각하기
3차원의 합성곱 연산은 데이터와 필터를 직육면ㅊ 블록이라고 생각하면 쉽습니다. 블록은[그림 7-10]과 같은 3차원 직육면체입니다. 또, 3차원 데이터를 다차원 배열로 나타낼 때는 (채널 channel, 높이height, 너비width)순서로 쓰겠습니다. 예를 들어 채널 수 C, 높이H, 너비W인 데이터의 형상은(C,H,W)로 씁니다. 필터로 같은 순서로 씁니다. 예를 들어 채널 수 C, 필터 높이 FH(Filter Height),필터 너비FW(Filter Width)의 경우(C,FH, FW)로 씁니다.
그림 7-10 합성곱 연산을 직육면체 블록으로 생각한다. 블록의 형상에 주의할 것!
(C,H,W) * (C,FH,FW) --> (1, OH, OW)
자, 이 예에서 출력 데이터는 한 장의 특정 맵입니다. 한 장의 특징 맵을 다른 말로 하면 채널이 1개인 특징 맵이죠. 그럼 합성곱 연산의 출력으로 다수의 채널을 내보내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그 답은 필터(가중치)를 다수 사용하는 것입니다. 그림으로 [그림 7-11]처럼 됩니다.
이 그림과 같이 필터를 FN개 적용하면 출력 맵도 FN개가 생성됩니다. 그리고 그 FN개의 맵을 모이면 형상이 (FN, OH, OW)인 블록이 완성됩니다. 이 완성된 블록을 다음 계층으로 넘기겠다는 것이 CNN의 처리 흐름입니다.
이상에서 보듯 합성곱 연산에서는 필터의 수도 고려해야 합니다. 그런 이유로 필터의 가중치 데이터는 4차원 데이터이며(출력 채널 수, 입력 채널 수, 높이, 너비)순으로 씁니다. 예를 들어 채널 수 3, 크기 5*5인 필터가 20개 있다면 (20, 3, 5,5)로 씁니다.
자, 합성곱 연산에도 (와전연결 계층과 마찬가지로)편향이 쓰입니다.[그림 7-12]은 [그림 7-11]에 편향을 더한 모습입니다.
[그림 7-12]에서 보듯 편향은 채널 하나에 값 하나씩으로 구성됩니다. 이 예에서는 편향의 형상은 (FN,1,1)이고, 필터의 출력 결과의 현상은(FN, OH, OW)입니다. 이를 두 블록을 더하면 편향의 각 값이 필터의 출력인(FN, OH, OW)블록의 대응 채널의 원소 모두에 더해집니다. 참고로, 현상이 다른 블록의 덧셈은 넘파이의 브로드캐스트 기능으로 쉽게 구현할 수 있습니다.
7.2.7 배치 처리
신경망 처리에서는 입력 데이터를 한 덩어리로 묶어 배치로 처리했습니다. 완전연결 신경망을 구현하면서는 이 방식을 지원하여 처리 효율을 높이고, 미니배치 방식의 학습도 지원하도록 했습니다.
합성곱 연산도 마찬가지로 배치 처리를 지원하고자 합니다. 그래서 각 계층을 흐르는 데이터의 차원을 하나 늘려 4차원 데이터로 저장합니다. 구체적으로는 데이터를 (데이터 수, 채널 수, 높이, 너비)순으로 저장합니다. 데이터가 N개일 때[그림 7-12]를 배치 처리한다면 데이터 형태가 [그림 7-13]처럼 되는 것이죠.
배치 처리 시의 데이터 흐름을 나타낸[그림 7-13]을 보면 각 데이터의 선두에 배치용 차원을 추가했습니다. 이처럼 데이터는 4차원 형상을 가진 채 각 계층을 타고 흐릅니다. 여기에서 주의할 점으로는 신경망에 4차원 데이터가하나 흐를때마다 데이터 N개에 대한 합성곱 연산이 이뤄진다는 것입니다. 즉 N회 분의 처리를 한 번에 수행하는 것이죠.
7.3 풀링 계층
풀링은 세로.가로 방향의 공간을 줄이는 연산입니다. 예를 들어 [그림 7-14]와 같이 2*2영역을 원소 하나로 집약하여 공간 크기를 줄입니다.
그림 7-14 최대 폴링의 처리 순서
[그림 7-14]는 2*2 최대 폴링(max pooling,맥스 폴링)을 스트라이드 2로 처리하는 순서입니다. 최대 폴링은 최댓값max을 구하는 연산으로, '2*2'는 대상 영역의 크기를 뜻합니다. 즉 2*2 최대 폴링은 그림과 같이 2*2크기의 영역에서 가장 큰 원소 하나를 꺼냅니다. 또, 스트라이드는 이 예에서는 2로 설정했으므로 2*2 원도우가 원소 2칸 간격으로 이동합니다. 참고로, 폴링의 원도우 크기와 스트라이드는 같은 값으로 설정하는 것이 보통입니다. 예를 들어 원도우가 3*3이면 스트라이드는 2으로, 원도우가 4*4이면 스트라이드를 4로 설정합니다.
WARING
폴링은 최대 폴링 외에도 평균 폴링(average pooling)등이 있습니다. 최대폴링은 대상 영역에서 최댓값을 취하는 연산인 반면, 평균 폴링은 대상 영역의 평균을 계산합니다. 이미지 인식 분야에서는 주로 최대 폴링을 사용합니다. 그래서 이 책에서 폴링 계층이라고 하면 최대 폴링을 말하는 것 입니다.
7.2.1 폴링 계층의 특징
폴링 계층의 특징은 무엇일까요?
학습해야 할 매개변수가 없다
풀링 계층은 합성곱 계층과 달리 학습해야 할 매개변수가 없습니다. 폴링은 대상 영역에서 최댓값이나 평균을 취하는 명확한 처리이므로 특별히 학습할 것 이 없습니다.
채널 수가 변하지 않는다
풀링 연산은 입력 데이터의 채널 수 그대로 출력 데이터로 내보냅니다. [그림 7-15]처럼 채널마다 독립적으로 계산하기 때문입니다.
입력의 변화에 영향을 적게 받는다(강건하다)
입력 데이터가 조금 변해도 폴링의 결과는 잘 변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그림 7-16]은 입력 데이터의 차이(데이터가 오른쪽으로 1칸씩 이동)를 폴링이 흡수해 사라지게 하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7.4 합성곱/폴링 계층 구현하기
지금까지 합성곱 계층과 폴링 계층에 대해 자세히 설명했습니다. 이번 절에서는 이들 두 계층을 파이썬으로 구현해보겠습니다. "5장 오차역전파법"에서 설명한 것처럼 이번 절에서 구현하는 클래스에도 forward와 backward메소드를 추가하여 모듈로 이용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합성곱 계층과 폴링 계층은 복잡해 보이지만, 사실 '트릭'을 사용하면 쉽게 구현할 수있습니다. 이번 절에서는 그 트릭을 활용해 문제를 간단히 하면서 합성곱 계층을 구현해 보겠습니다.
7.4.1 4차원 배열
앞에서 설명한 대로 CNN에서 계층 사이를 흐르는 데이터는 4차원입니다. 예를 들어 데이터의 형상이 (10, 1, 28, 28)이라면, 이는 높이 28, 너비 28, 채널1개인 데이터가 10개라는 이야기 입니다. 이를 파이썬으로 구현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x = np.random.rand(10, 1, 28, 28) #무작위로 데이터 생성
>>> x.shape
(10, 1, 28, 28)
여기에서 (10개 중) 첫번째 데이터에 접근하려면 단순히 x[0]이라고 씁니다(파이썬의 인덱스는 0부터 시작합니다). 마찬가지로 두 번째 데이터는 x[1] 위치에 있습니다.
>>>x[0].shape #(1, 28, 28)
>>>x[1].shape #(1, 28, 28)
또, 첫 번째 데이터의 첫 채널의 공간 데이터에 접근하려면 다음과 같이 적습니다.
>>> x[0,0] #또는 x[0][0]
이처럼 CNN은 4차원 데이터를 다룹니다. 그래서 합성곱 연산의 구현은 복잡해질 것 같지만, 다음 절에서 설명하는 im2col이라는 '트릭'이 문제를 단순하게 만들어 줍니다.
7.4.2 im2col로 데이터 전개하기
합성곱 연산을 곧이곧대로 구현하려면 for문을 겹겹이 써야겠죠. 생각만 해도 궈찮고, 또 넘파이에 for문을 사용하면 성능이 떨어진다는 단점도 있습니다(넘파이에서는 원소에 접근할 때 for문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이번 절에서는 for 문 대신 im2col이라는 편의 하수를 사용해 간단하게 구현해 보겠습니다.
im2col은 입력 데이터를 필터링(가중치 계산)하기 좋게 전개하는(펼치는)함수입니다. [그림 7-17]과 같이 3차원 입력 데이터에 im2col을 적용하면 2차원 행렬로 바뀝니다(정확히는 배치 안의 데이터 수까지 포함한 4차원 데이터를 2차원으로 변환합니다).
im2col은 필터링하기 좋게 입력 데이터를 전개합니다. 구체적으로 [그림 7-18]과 같이 입력 데이터에서 필터를 적용하는 영역(3차원 블록)을 한 줄로 늘어 놓습니다. 이 전개를 필터를 적용하는 모든 영역에서 수행하는게 im2col입니다.
[그림 7-18]에서는 보기에 좋게끔 스트라이드를 크게 잡아 필터의 적용 영역이 겹치지 않도록 했지만, 실제 상황에서는 영역이 겹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필터 적용 영역이 겹치게 되면 im2col로 전개한 후의 원소 수가 원래 블록의 원소 수보다 많아집니다. 그래서 im2col을 사용해 구현하면 메모리를 더 많이 소비하는 단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컴퓨터는 큰 행렬을 묶어서 계산하는 데 탁월합니다. 예를 들어 행렬 계산 라이브러리(선형 대수 라이브러리)등은 행렬 계산에 고도로 최적화되어 큰 행렬의 곱셈을 빠르게 계산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문제를 행렬 계산으로 만드면 선형 대수 라이브러리를 활용해 효율을 높일 수 있습니다.
NOTE
im2col은 "image to column", 즉 '이미지에서 행렬로'라는 뜻입니다. 카페Caffe와 체이너Chainer등의 딥러닝 프레임워크는 im2col이라는 이름의 하수를 만들어 합성곱 계층을 구현할 때 이용하고 있습니다.
im2col로 입력 데이터를 전재한 다음에는 합성곱 계층의 필터(가중치)를 1열로 전재하고, 두 행렬의 내적을 계산하면 됩니다(그림 7-19), 이는 완전연결 계층의 Affine 계층에서 한 것과 거의 같습니다.
그림 7-19 합성곱 연산의 필터 처리 상세 과정: 필터를 세로로 1열로 전개하고, im2col이 전개한 데이터와 행렬 내적을 계산합니다. 마지막으로 출력 데이터를 변형(reshape)합니다.
[그림 7-19]와 같이 im2col방식으로 출력한 결과는 2차원 행렬입니다. CNN은 데이터를 4차원 배렬로 저장하므로 2차원 출력 데이터를 4차원으로 변형reshape합니다. 이상의 합성곱 계층의 구현 흐름입니다.
7.4.3 합성곱 계층 구현하기
이 책에서는 im2col 함수를 미리 만들어 제공합니다. 사실 그 구현은 간단한 함수 10개 정도를 묶은 것이니, 궁금한 분은 common/util.py 를 참고하세요.
자, im2col 함수의 인터페이스는 다음과 같습니다.
im2col(input_data, filter_h, filter_w, stride=1, pad=0)
-input_data - (데이터 수, 채널 수, 높이, 너비)의 4차원 배열로 이뤄진 입력 데이터
-filter_h -필터의 높이
-filter-w -필터의 너비
- stride - 스트라이드
- pad - 패딩
이 im2col은 '필터 크기', '스트라이드', '패딩'을 고려하여 입력 데이터를 2차원 배열로 전개합니다. 그러면 이 im2col을 실제로 사용해 봅시다.
import sys, os
sys.path.append(os.pardir)
from common.util import im2col
x1 = np.random.rand(1,3,7,7) #(데이터 수, 채널 수, 높이, 너비)
col1 = im2col(x1, 5, 5, stride=1, pad=0)
print(col1.shape) #(9, 75)
x2 = np.random.rand(10, 3, 7, 7) # 데이터 10개
col2 = im2col(x2, 5, 5, stride=1, pad =0)
print(col2.shape) # (90, 75)
여기에서는 두 가지 예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첫 번째는 배치 크기가 1(데이터 1개), 채널은 3개, 높이.너비가 7*7의 데이터이고, 두 번째는 배치 크기만 10이고 나머지는 첫 번째와 같습니다. im2col 함수를 적용한 두 경우 모두 2번째 차원의 원소는 75개입니다. 이 값은 필터의 원소 수와 같죠(채널 3개, 5*5 데이터). 또한, 배치 크기가 1일 때는 im2col의 결과의 크기가 (9, 75)이고, 10일때는 그 10배인(90, 75)크기의 데이터가 저장됩니다.
이제 이 im2col을 사용하여 합성곱 계층을 구현해보죠. 여기에서는 합성곱 계층을 Convolution이라는 클래스로 구현하겠습니다.
def __init__(self, W, b, stride=1, pad=0):
self.W = W
self.b = b
self.stride = stride
self.pad = pad
def forward(self, x):
FN, C, FH, FW = self.W.shape
N, C, H,W = x.shape
out_h = int(1 + (H + 2*self.pad - FH)/self.stride)
out_w = int(1 + (W + 2*self.pad - FW)/self.stride)
col = im2col(x, FH, FW, self.stride, self.pad)
col_W = self.W.reshape(FN, -1).T #필터 전개
out = np.dot(col, col_W) + self.b
out = out.reshape(N, out_h, out_w, -1).transpose(0, 3, 1, 2)
return out
합성곱 계층은 필터(가중치), 편향, 스트라이드, 패딩을 인수로 받아 초기화합니다. 필터는 (FN, C, FH, FW)의 4차원 형상입니다. 여기서 FN은 필터 개수, C는 채널, FH는 필터 높이, FW는 필터 너비 입니다.
앞의 합성곱 구현 코드에서 중요한 부분을 굵게 표시했습니다. 이 부분에서 입력 데이터를 im2col로 전개하고 필터도 reshape을 사용해 2차원 배열로 전개합니다. 그리고 이렇게 전개한 두 행렬의 내적을 구합니다.
필터를 전개하는 부분(코드 중 굵은 글씨)은 [그림 7-19]에서 보듯 각 필터 블록을 1줄로 펼쳐 세웁니다. 이때 reshape의 두 번째 인수를 -1로 지정했는데, 이는 reshape의 제공하느 ㄴ편의 기능입니다. reshape에 -1을 지정 하면 다차원 배열의 원소 수가 변환 후에도 똑같이 유지되도록 적절히 묶어줍니다. 무슨 말인고 하니, 앞의 코드에서 (10, 3, 5,5) 형상을 한 다차원 배열 W의 원소 수는 총 750개죠? 이 배열 reshape(10, -1)을 호출하면 750개의 원소를 10묶음으로, 즉 형상이 (10, 75)인 배열로 만들어줍니다.
다음으로 forward 구현의 마지막에서는 출력데이터를 적절한 현상으로 바꿔줍니다. 이때 넘파이의 transpose 함수를 사용하는데, 이는 다차원 배열의 순서를 바꿔주는 함수입니다.
[그림 7-20]과 같이 인텍스(0부터 시작)를 지정하여 축의 순서를 변경합니다.
그림 7-20 넘파이의 transpose함수로 축 순서 변경하기:인텍스(번호)로 축의 순서를 변경한다.
현상 ( N, H, W, C) ----------> ( N, C, H, W )
인텍스 0, 1, 2, 3 0, 3, 1, 2
이상이 합성곱 계층의 forward 구현입니다. im2col로 전개한 덕분에완전연결 계층의 Affine 계층과 거의 똑같이 구현할 수 있었습니다("5.6 Affine/Softmax 계층 구현하기" 참고).
다음은 합성곱 계층의 역전파를 구현할 차례지만, Affine 계층의 공통점이 많아 따로 설명하지 않겠습니다. 주의할 게 하나 있는데, 합성곱 계층의 연전파에서는 im2col을 역으로 처리해야 합니다. 이는 책이 제공하는 col2im 함수를 사용하면 됩니다(col2im의 구현은 common/util.py에 있습니다). col2im을 사용한다는 점을 제외하면 합성곱 계층의 역전파는 Affine 계층와 똑 같습니다. 합성곱 계층의 연전파 구현은 common/layer.py 에 있으니 궁금한 분은 참고하세요.
7.4.4 폴링 계층 구현하기
풀링 계층 구현도 합성곱 계층과 마찬기지로 im2col을 사용해 입력 데이터를 전개합니다. 단, 폴링의 경우엔 채널 쪽이 독립적이라는 점이 합성곱 계층 때와 다릅니다. 구체적으로 [그림 7-21]과 같이 폴링 적용 영역을 채널마다 독립적으로 전개 합니다.
그림 7-21 입력 데이터에 폴링 적용 영역을 전개(2*2 폴링의 예)
일단 이렇게 전개한 후, 전개한 행렬에서 행별 최댓값을 구하고 적절한 형상으로 성형하기만 하면 됩니다(그림 7-22).
그림 7-22 풀링 계층 구현의 흐름: 풀링 적용 영역에서 가장 큰 원소는 회색으로 표시
이상이 폴링 계층의 forward 처리 흐름입니다. 다음은 이를 파이썬으로 구현한 코드 입니다.
class Pooling:
def __init__(self, pool_h, pool_w, stride=1, pad=0):
self.pool_h = pool_h
self.pool_w = pool_w
self.stride = stride
self.pad = pad
def forward(self, x):
N, C, H, W = x.shape
out_h = int(1 + (H - self.pool_h)/self.stride)
out_w = int(1 + (W - self.poll_w)/self.stride)
#전개 (1)
col = im2col(x, self.pool_h, self.pool_h, self.stride, self.pad)
col = col.reshape(-1, self.poo_h * self.pool_w)
#최대값 (2)
out = np.max(col, axis=1)
#성형 (3)
out = out.reshape(N, out_h, out_w, C).transpose(0, 3, 1, 2)
return out
풀링 계층 구현은 [그림 7-22]와 같이 다음의 세 단계로 진행합니다.
1. 입력 데이터를 전개한다.
2. 행별 최댔값을 구한다.
3. 적절한 모양으로 성형한다.
앞의 코드에서와 같이 각 단계는 한두줄 정도로 간단히 구현됩니다.
NOTE
최댓값 계산에는 넘파이의 np.max 메서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np.max는 인수로 축(axis)을 지정할 수 있는데, 이 인수로 지정한 축마다 최댓값을 구할 수 있습니다. 가령 np.max(x.axis=1)과 같이 쓰면 입력 x의 1번째 차원의 축마다 최댓값을 구합니다.
이상이 풀링 계층의 forwad처리입니다. 이 절에서 선택한 전략을 따라 입력 데이터를 풀링하기 쉬운 형태로 전개해버리면 그 후의 구현은 간단합니다.
풀링 계층의 backward 처리는 관련 사항을 이미 설명했으니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합니다.
ReLU 계층을 구현할 때 사용한 max의 역전파를 참고하세요("5.5.1 ReLU계층"). 풀링 계층의 전체 구현은 common/layer.py에 있으니 궁금하신 분은 한번 살펴보세요.
7.5 CNN 구현하기
합성곱 계층과 풀링 계층을 구현했으니, 이들 계층을 조합하여 손글씨 숫자를 인식하는 CNN을 조립해 보겠습니다. 여기에서는 [그림 7-23]과 같은 CNN을 구현합니다.
그림 7-23
2-> Conv->ReLU->Pooling --> Affine->ReLu--> Affine->Sorfmax-->
이 그림의 CNN 네트워크는 "Convolution-ReLU-Pooling-Affine-ReLU-Affine-Softmx" 순으로 흐릅니다. 이를 SimpleConvNet이라는 이름의 클래스로 구현하겠습니다.
우선 SimpleConvNet의 초기화(__init__)를 살펴봅시다. 초기화 때는 다음 인수들을 받습니다.
초기화 때 받는 인수
- input_dim - 입력 데이터(채널 수, 높이, 너비)의 차원
- conv_param - 합성곱 계층의 하이퍼파라미터(딕셔너리). 딕셔너리의 키는 다음과 같다.
-- filter_num - 필터수
-- filter_size - 필터 크기
-- stride - 스트라이드
-- pad - 패딩
- hidden_size - 은닌층(완전연결)의 뉴런수
- output_size - 출력층(완전연결)의 뉴런수
- weight_init_std - 초기화 때의 가중치 표준편차
여기에서 합성곱 계층의 하이퍼파라미터는 딕셔너리 형태로 주어집니다(conv_param).
이것은 필요한 하이퍼파라미터의 값이 예컨대 {'filter_num':30, 'filter_size':5, 'pad':0, 'stride':1}처럼 저장된다는 뜻입니다.
자, SimpleConvNet의 초기화는 코드가 좀 길어지므로 세 부분으로 나눠 설명하겠습니다. 다음은 그 중 첫번재 입니다.
여기에서는 초기화 인수로 주어진 합성곱 계층의 하이퍼파라미터를 딕셔너리에서 꺼냅니다(나중에 쓰기 쉽도록). 그리고 합성곱 계층의 출력 크기를 계산합니다. 이어서 다음 코드는 가중치 매개변수를 초기화하는 부분입니다.
학습에 필요한 매개변수는 1번째 층의 합성곱 계층과 나머지 두 완전연결 계층의 가중치와 편향입니다. 이들 매개변수를 인스턴스 변수 params 딕셔너리에 저장합니다. 1번째 층의 합성곱 계층의 가중츠를 W1, 편향을 b1 이라는 키로 저장합니다. 마찬가지로 2번째 층의 완전연결 계층의 가중치와 편향을 W2와 b2, 마지막 3번째 층의 완전연결 계층의 가중치와 편향을 W3와 b3라는 키로 각각 저장합니다.
마지막으로 CNN을 구성하는 계층들을 생성합니다.
순서가 있는 딕셔너리(OrderedDict)인 layers에 계층들을 차례로 추가합니다. 마지막 SoftmaxWithLoss 계층만큼은 last_layer라는 별도 변수에 저장해둡니다.
이상이 SimpleConvNet의 초기화입니다. 이렇게 초기화를 마친 다음에는 추론을 수행하는 predict메소드와 손실함수의 값을 구하는 loss메서드를 다음과 같이 구현할 수 있습니다.
이 코드에서 인수 x는 입력 데이터, t는 정답 레이블입니다. 추론을 수행하는 predict 메소드는 초기화 때 layers에 추가한 계층을 맨 앞에서부터 차례로 forward 메소드를 호출하며 그 결과를 다음 계층에 전달합니다. 손실 함수를 구하는 loss 메소드는 predict메소드의 결과를 인수로 마지막 층의 forward메소드를 호출합니다. 즉, 첫 계층부터 마지막 계층까지 forward를 처리합니다.
이어서 오차역전파법으로 기울기를 구하는 구현은 다음과 같습니다.
피드 구독하기:
글 (At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