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2022년 7월 15일 금요일

1.1.6 지금까지 딥러닝의 성과

 딥러닝은 머신 러닝의 오래된 하위 분야지만 2010년 초가 되어서야 유명해졌습니다. 이때부터 몇 년 동안 이 분야에ㅐ서 일어난 혁신은 결코 작지 않습니다. 사람에케는 자연스럽고 직관적으로 보이지만 계로는 오랫동안 해결하기 어려웠던 시각과 청각 같은 지작의 문제에서 괄목할 만한 성과를 냈습니다.

특히 딥러닝은 다음과 같은 획기적인 발전을 이루었습니다. 모두가 머신러닝에서는 오랫동안 어려운 문제였습니다.

- 사람과 비슷한 수준의 이미지 분류

- 사람과 비슷한 수준의 음성 인식

- 사람과 비슷한 수준의 필기 인식

- 향상된 기계 번역

- 향상된 TTS(Text-To-Speech) 변환

- 구글 나우(Now)와 아마존 알렉사(Alexa)같은 디지털 비서

- 사람과 비슷한 수준의 자율 주행 능력

- 구글, 바이두(Baidu),빙(Bing)에서 사용하는 향상된 광고 타기팅(targeting)

- 향상된 웹 검색 엔진의 결과

- 자연어 질문에 대답하는 능력

- 사람을 능가하는 바둑 실력

우리는 여전히 딥러닝이 할 수 있는 일의 전체 크기를 알아 가는 중입니다. 지각과 자연여 인식 외에 형식 추론(formal reasoning)과 같은 다양한 문제에 적용하기 시작 했습니다. 만약 성고한다면 딥러닝이 과학, 소프트웨어 개발 등에서 사람을 보조하게 되는 시대를 알리는 것일지도 모릅니다.

1.1.5 그림 3개로 딥러닝의 작동 원리 이해하기

 이제 머신 러닝이 많은 입력과 타깃(target)의 샘플을 관찰하면서 입력(예:이미지)을 타깃(예:'고양이'레이블)에 매핑(mapping) 하는 것임을 알았습니다. 심층 신경망은 이런 입력-타깃 매핑을 간단한 데이터 변환기(층)를 많이 연결하여 수행한다는 것도 배웠습니다. 이런 데이터 변환은 샘플에 노출됨으로써 학습이 이루어집니다. 이제 어떻게 이런 학습이 일어나는지 자세히 살펴봅시다.

층에서 입력 데이터가 처리되는 상세 내용은 일련의 수수자로 이루어진 층의 가중치(weight)에 저장되어 있습니다. 기술적으로 말하면 어떤 층에서 일어나는 변환은 그 층의 가중치를 파라미터(parameter)(로 가지는 함수로 표현됩니다. (이따금 가중치를 그 층의 파라미터라고도 부릅니다.) 이런 맥락으로 보면 학습은 주어진 입력을 정확한 타깃에 매핑하기 위해 신경망의 모든 층에 있는 가중치 값을 찾는 것을 의미합니다. 하지만 어떤 심층 신경망은 수천만개의 파마미터를 가지기도 합니다. 이런 경우에 모든 파라미터의 정확한 값을 찾는 것은 어려운 일로 보입니다. 파라미터 하나의 값을 바꾸면 다른 모든 파라미터에 영향을 끼치기 때문입니다!

어떤 것을 조정하려면 먼저 관찰해야 합니다. 신경망의 출력을 제어하려면 출력이 기대하는 것보다 얼마나 벗어났는지를 측정해야 합니다. 이는 신경망의 손실 함수(loss function)또는 목적 함수(objective function)가 담당하는 일입니다. 신경망이 한 샘플에 대해 얼마나 잘 예측했는지 측정하기 위해 손실 함수가 신경망의 예측과 진짜 타깃(신경망의 출력으로 기대하는 값)의 차이를 점수로 계산합니다.

기본적인 딥러닝 방식은 이 점수를 피드백 신호로 사요ㅕㅇ하여 현재 심플의 손실 점수가 감소되는 방향으로 가중치 값을 조금씩 수정하는 것입니다. 이런 수정 과정은 딥러닝의 핵심 알고리즘인 역전파(Backpropagation)알고리즘을 구현한 옵티마이저(optimizer)가 담당합니다. 다음 장에서 역전파가 어떻게 작도하는지 상헤사게 설명하겠습니다.

초기에는 네트워크의 가중치가 랜덤한 겂으로 할당되므로 랜덤한 변환을 연속적으로 수행합니다. 자연스럽게 출려은 기대한 것과 멀어지고 손실 점수가 매우 높을 것입니다. 하지만 네트워크가 모든 샘플을 처리하면서 가중치가 조금씩 올바른 방향으로 조정되고 손실 점수가 감소합니다. 이름 훈련 반복(trainig loop) 이라고 하며, 충분한 횟수마큼 반복하면(일반적으로 ㅅ천 개의 샘플에서 수십 번 반복하면)손실 함수를 최소화하는 가중치 값을 산출합니다. 최소한의 손실을 내는 네트워크가 타깃에 가능한 가장 가까운 출력을 만드는 모델의 됩니다. 다시 한번 말하지만 이간단한 메커니즘이 화잗외면 마술 같은 결과를 만듭니다.

1.1.4 딥러닝에서 '딥'이란 무엇일까?

 딥러닝은 머신 러닝의 특정한 한 분야로서 연속된 층(layer)에서 점진적으로 의미 있는 표현을 배우는 데 강점이 있으며, 데이터포부터 표현을 학습하는 새로운 방식입니다. 딥러닝의 딥(deep)이란 단어가 어떤 깊은 통찰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앟습니다. 그냥 연속된 층으로 표현을 학습한다는 개념을 나타냅니다. 데이터로부터 모델을 만드는데 얼마나 많은 층을 사용했는지가 그 모델의 깊이가 됩니다. 이 분야에 대한 적절한 다른 이름은 층 기반 표현 학습(layered representations learning)또는 계층적 표현 학습(hierarchical representations learning)이 될 수 있습니다. 최근의 딥러닝 모델은 표현 학습을 위해 수십개, 수백 개의 연속된 층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층들을 모두 훈련 데이터에 노출해서 자동으로 학습시킵니다. 한편 다른 머신 러닝 접근 방법은 1-2개의 데이터 표현 층을 학습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래서 이런 방식을 얕은 학습(shallow learning)이라 부르기도 합니다.

딥러닝에서는 기본 층을 겹겹이 쌓아 올려 구성한 신경만(neural network)이라는 모델을 (거의 항상)사용하여 표현 층을 학습합니다. 신경망이란 단어는 신경 생물학의 용어입니다. 딥러닝의 일부 핵심 개념이 뇌 구조를 이해하는 것에서부터 영감을 얻어 개발된 부분이 있지만, 딥러닝 모델이 뇌를 모델링한 것은 아닙니다. 최근의 딥러닝 모델이 사용하고 학습 매커니증과 유사한 것을 뇌가 가지고 있다는 근거는 없습니다. 대중 과학 저널에서 딥러닝이 뇌처럼 작동한다거나 뇌를 모방하여 만들었다고 주장하는 글을 아따름 볼 수 있지만, 이는 사실이 아닙니다. 딥러닝이 신경 생물학과 어떤 관련이 있는것처럼 생각하는 것이 오히려 이 분야를 처음 접하는 사람들을 혼란스럽게 해서 역효과를 냅니다. 이간의 정신 세계와 같은 신비하고 미스터리한 무언가를 떠울릴 필요가 없습니다. 이전에 읽었던 딥러닝과 생물학 사이를 연관 짓는 어떤 가설도 잊는 것이 좋습니다. 우리가 다루는딥러닝은 그냥 데이터로부터 표현을 학습하는 수학 모델인 뿐입니다.

딥러닝 알고리즘으로 학습된 표현은 어떻게 나타날까요? 몇 개의 층으로 이루어진 네트워크가 이미지 않의 숫자를 인식하기 위해 이미지를 어떻게 변환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최종 출력에 대해 점점 더 많은 정보를 가지지만 원본 이미지와는 점점 더 다른 표현으로 숫자 이미지가 변환 됩니다. 심층 신경망을 정보가 연속된 필터(filter)를 통과하면서 순도 높게(즉 어떤 작업에 대해서 유용하게)정제되는 다단계 정보 추출 작업으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바로 이것이 딥러닝입니다. 기술적으로 데이터 표현을 학습하기 위한 다단계 처리 방식을 말합니다. 간단한 아이디어지만, 매우 단순한 이 구조를 충분한 규모로 확장하면 마치 마술 같은 일을 할 수 있습니다.

1.1.3 데이터에서 표현을 학습하기

 딥러닝을 정의하고 다름 머신 방식과의 차이점을 이해하기 위해 먼저 머신러닝 알고리즘이 하는 일이 무엇인지 알아야 합니다. 머신러닝은 샘플과 기댓값이 주어졌을 때 데이터 처리 작업을 위한 실행 ㅋ규칙을 찾는 것입니다. 머신 러닝을 하기 위해서는 세 가지가 필요합니다.

- 입력 데이터 포인트: 예를 들어 주어진 문제가 음성 인식이라면, 이 데이터 포인트는 사람의 대화가 녹음된 사운드 파일 입니다. 만약 이미지 태깅에 관한 작업이라면 데이터 포인트는 사진이 됩니다.

- 기대 출력: 음성 인식 작업에서는 사람이 사운드 파일을 듣고 옮긴 글입니다. 이미지 작업에서 기대하는 출력은 '강아지', '고양이' 등과 같은 태그입니다.

- 알고리즘의 성능을 측정하는 방법: 알고리즘의 현재 출력과 기대 출력 간의 차이를 결저하기 위해 필요합니다. 측정값은 알고리즘의 작동 방식을 교정하기 위한 신로로 다시 피드백 됩니다. 이런 수정 단계를 학습(learning)이라고 말합니다.

머신 러닝 모델은 입력 데이터를 의미 있는 출력으로 변환합니다. 이것이 알고 있는 입력과 출력의 샘플로부터 학습하는 과정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머신 러닝과 딥러닝의 핵심 문제는 의미 있는 데이터로의 변환입니다. 다시 말하면 입력 데이터를 기반으로 개대 출력에 가깝게 만드는 유용한 표현(representation)을 학습하는 것입니다. 여기에는 표현이란 무엇일까요? 핵심은 데이터를 인코딩(encoding)하거나 묘사하기 위해 데이터를 바라보는 다른 방법입니다. 예를 들어 컬러 이미지는 RGB 포맷(빨간색-녹색-파란색)이나 HSV 포맷(색상-채도-명도)으로 인코딩될 수 있습니다. 이들은 같은 데이터의 두 가지 다른 표현입니다. 어떤 표현으로는 해결하기 힘든 문제가 다른 표현으로는 쉽게 해결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이미지에 있는 모든 빨간색 픽셀을 선택'하는 문제는  RGB 포맷에서는 쉽습니다. 반면에 '이미지의 채도를 낮추는'것은 HSV포맷이 더 쉽습니다. 머신 러닝 모델은 입력 데이터에서 적절한 표현을 찾는 것 입니다. 이런 데이터 변환은 분류 작업 같은 문제를 더 쉽게 해결할 수 있도록 만들어 줍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죠. x축, y축이 있고 이 (x,y)좌표 시스템으로 표현된 데이터 포인트가 그림 1-3에 나타나 있습니다.

그림에서 볼 수 있듯이 흰색 포인트와 빨간색 포인트가 있습니다. 포인트의 좌표(x, y)를 입력으로 받고 그 포인트가 빨간색인지 흰색인지를 출력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하려고 합니다. 이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습니다.

- 입력은 포인트의 좌표입니다.

- 기대 출력은 포인트의 색깔입니다.

- 알고리즘의 성능은 정확히 분류한 포인트의 비율을 사용하여 측정합니다.

포인트에 대한 새로운 좌표는 새로운 데이터 표현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좋은 표현을 찾았습니다.  이 표현을 사용하면 색깔 분류 문제를 "x > 0인 것은 빨간색 포인트다." 또는 "x < 0 인 것은 흰색 포인트다." 라는 간단한 규칙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이 분류 문제를 해결한 것은 새로운 표현입니다.

이 경우에는 우리가 직접 좌표 변환을 정했습니다. 만약 시스템적으로 가능한 여러 좌표 변환을 찾아서 포인트 중 몇 퍼센트가 정확히 분류되었는지를 피드백으로 사용한담켠, 바로 머신 러닝을 하고 있는 것 입니다. 이처럼 머신 러닝에서는 학스(Learning)이란 더 나은 표현을 찾는 자동화된 과정입니다.

모든 머신 러닝 알고리즘은 주어진 작업을 위해 데이터를 더유용한 표현으로 바꾸는 이런 변환을 자동으로 찾습니다. 이 연산은 앞서 본 좌표 변환일 수도 있고 또는 선형 투영  (linear projection)(정보를 잃을 수 있음), 이동(translation),  비선형 연산 (예를 들어 x > 0 인 모든 포인트를 선택하는 것) 등이 될 수도 있습니다. 머신 러닝 알고리즘은 일반적으로 이런 변환을 찾기 위한 창의력은 없습니다. 가설 공간( hypothesis space)이라 부르는 미리 정의된 연산의 모듬들을 자세히 조사하는 것뿐입니다.

기술적으로 말하면 머신 러닝은 가능성 있는 공간을 사전에 정의호고 피드백 신호으 ㅣ도움을 받아 입력 데이터에 대한 유용한 변환을 찾는 것 입니다. 이 간단한 아이디어가 음성 인식에서부터 자율 주행 자동차까지 아주 다양한 분양에서 지능에 관한 문제를 해결합니다.

이제 학습이 의미하는 바를 이해했을 것입니다. 다음으로 무엇이 딥러닝을 특별하게 만드는지 살펴보겠습니다.

1.1.2 머신 러닝

 영국 빅토리아 시대의 에이다 러브레이스(Ada Lovelace)는 최초의 기계적 범용 컴퓨터인 해석기관(Analytical Engine)을 발명한 찰스 배비지(Charles Babbage)의 친구이자 동료였습니다. 선견지명이 있어 시대를 많이 앞섰지만 1830년대와 1840년대부터 해석 기관이 범용 컴퓨터란 개념이 아직 정의됮 ㅣ않은 때였습니다. 단지 해석학(mathematical analysis) 분야의 계산을 자동화하기 위해 기계적인 연산을 사용하는 방법이었을 뿐입니다. 그래서 이름이 해석 기관입니다. 1843년 에이다 러브레이스는 이 발명에 대해 다음과 같이 언급했습니다. "해석 기관이 무언가를 새롭게 고안해 내는것은 아닙니다. 우리가 어떤 것을 작동시키기 위해 어떻게 명ㄱ령할지 알고 있다면 이 장치는 무엇이든 할 수 있습니다. ... 이런 능력은 우리가 이미 알고 있는것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줄 것입니다." AI 선구자인 앨런 튜링(Alan Turing)은 1950년에 튜링 테스트(Turing test)와 AI의 주요 개념을 소개한 그의 기념비적인 노문 "Computing Machinery and Intelligence"에서 '러브레이스의 반론(Lady Lovelace's objection)으로 이 논평을 인용했습니다. 튜링은 에이다 러브레이스의 말을 인용했지만 범용 컴퓨터가 학습과 창의력을 가질 수 있는지 숙고한 후 가능한 일이라고 결론을 냈습니다.

머신 러닝은 이런 질문에서부터 시작됩니다. "우리가 어떤 것을 작동히키기 위해 '어떻게 명령할 지 알고 있는것' 이상을 컴퓨터가 처리하는 것이 가능한가? 그리고 특정 작업을 수행하는 법을 스스로 학습할 수 있는가? 컴퓨터가 우리를 놀라게 할 수 있을까? 프로그래머가 직접 만든 데이터 처리 규칙 대신 컴퓨터가 데이터를 보고 자동으로 이런 규칙을 학습할 수 있을까?

이 질문은 새로운 프로그래밍 패러다임의 장을 열었습니다. 전통적인 프로그래밍인 심볼릭 AI의 패러다임에서는 규칙(프로그램)과 이 규칙에 따라 처리될 데이터를 입력하면 해답이 출력됩니다. 머신 러닝에서는 데이터와 이 데이터로 부터 기대되는 해답을 입력하면 규칙이 출력됩니다. 이 규칙을 새로운 데이터에 적용하여 창의적인 답을 만들 수 있습니다.

머신러닝 시스템은 명시적으로 프로그램되는 것이 아니라 훈련(training)됩니다. 작업과 관련 있는 많은 샘플을 제공하면 이 데이터에서 통계적 구조를 찾아 그 작업을 자동화하기 위한 규칙을 만들어 냅니다. 예를 들어 여행 사진을 태깅하는 일을 자동화하고 싶다면, 사람이 이미 태그해 놓은 다수의 사진 샘플을 시스템에 제공해서 특정 사진에 태그를 연과시키기 위한 통계적 규칙을 학습할 수 있을 것 입니다.

먼시 ㄴ러닝은 1990년대 들어와서야 각광을 받기 시작했지만, 고성능 하드웨어와 대량으 ㅣ데이터셋이 가능해지면서 금방 AI에서 가장 인기 있고 성공적인 분야가 되었습니ㅏㄷ. 머신 러닝은 수리 통계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지만 통계와 다른점이 몇가지 있습니다. 먼저 머신러닝은 통계와 달리 보통 대량의 복잡한 데이터셋(예를 들어 몇 만개의 픽셀로 구성된 이미지가 수백만 개가 있는 데이터셋)을 다루기 때문에 베이지안 분석(Bayesian analysis) 같은 전통적인 통계 분석 방법은 현실적으로 적용하기 힘듭니다. 이런 이유 때문에 머신 러닝, 특히 딥러닝은 수학적 이론이 비교적 부족하고(어쩌면 아주 부족하고) 엔지니어링 지향적입니다. 이런 실천적인 접근 방식 때문에 이론보다는 경험을 바탕으로 아이디어가 증명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1.1.1 인공 지능

 인공 지능은 1950년대에 초기 컴퓨터 과학 분양의 리부 선각자들이 "컴퓨터가 '생각'할 수 있는가?" 라는 질문을 하면서 시작되었습니다. 이 질문의 답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찾고 있습니다. 이 분야에 대한 간결한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보통의 사람이 수행하는 지능적인 작업을 자동화하기 위한 연구 활동 입니다. 이처럼 AI 머신러닝과 딥러닝을 포괄하는 종합적인 분야입니다. 또 학습 과정이 전혀 없는 다른 방법도 많이 포함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초기 체스 프로그램은 프로그래머가 만든 하드코딩된 규칙만 가지고 있었고 머신 러닝으로 인정받지 못했습니다. 아주 오랜기간 동안 많은 전문가는 프로그래머들이 명시적인 규칙을 충분하게 많이 만들어 지식을 다루면 인간 수준의 인공 지능을 만들 수 있다고 믿었습니다. 이런 접근 방법을 심볼릭 AI(symbolic AI)라고 하며 195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AI 분야의 지배적인 패러다임이었습니다. 1980년대 전문가 시스템(expert system) 의 호황으로 그 인기가 절정에 다다랐습니다.

심볼릭AI가 체스 게임처럼 잘 정의된 논리적인 문제를 푸는데 적합하다는 것이 증명되었지만, 이미지 분류, 음성 인식, 언어 번역 같은 더 복잡하고 불분명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명확한 규칙을 찾는 것은 아주 어려운 일입니다. 이런 심볼릭 AI를 대체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이 등장했는데, 바로 머신 러닝입니다.


2022년 6월 1일 수요일

2.3 Linear Model in Action

 Let's actually train a single-input linear neuron model using the gradient descent algorithm. First, we need to sample multiple data points. For a toy example with a known model, we directly sample from the specified real model:

y = 1.477x  + 0.0089

01. Sampling data

In order to simulate the observation errors, we add an independent error variable e to the model, where e follows a Gaussian distribution with a mean value of 0 and a standard deviation of 0.01(i.e., variance of 0.01):

y = 1.477x + 0.089 + e, e ~ N(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