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델 평가의 핵심은 가용한 데이터를 항상 훈련, 검증, 테스트 3개의 세트로 나누는 것입니다. 훈련 세트에서 모델을 훈련하고 검증 세트에서 모델을 평가합니다. 모델을 출시할 준비가 되면 테스트 세트에서 최종적으로 따 한 번 모델을 테스트 합니다.
훈련 세트와 테스트 세트 2개를 사용하면 어떨까요? 훈련 세트에서 훈련하고 테스트 세트에서 평가한느 것이죠. 훨씬 간단하네요!
이렇게 하지 않는 이유는 모델을 개발할 때 항상 모델의 설정을 튜닝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층의 수나 층의 유닛 수를 선택합니다(이런 파라미터를 네트워크의 가중치와 구분하기 위해 하이퍼파라미터(hyperparameter)라고 부릅니다). 검증 세트에서 모델의 성능을 평가하여 이런 튜닝을 수행합니다. 본질적으로 이런 튜닝도 어떤 파라미터 공간에서 좋은 설정을 찾는 학습입니다. 결국 검증 세트의 성능을 기반으로 모델의 설정을 튜닝하면 검증 세트로 모델을 직접 훈련하지 않더라도 빠르게 검증 세트에 과대적합될 수 있습니다.
이 현상의 핵슴은 정보 누설(Information leak)개념에 있습니다. 검증 세트의 모델 성능에 기반하여 모델의 하이퍼파라미터를 조정할 때마다 검증 데이터에 관한 정보가 모델로 새는 것입니다. 하나의 파라미터에 대해서 단 한 번만 튜닝한다면 아주 적은 정보가 누설됩니다. 이런 검증 세트로는 모델을 평가할 만합니다. 하지만 한 번 튜닝하고 나서 검증 세트에 평가한 결과를 가지고 다시 모델을 조정하는 과정을 여러 번 반복하면, 검증 세트에 관한 정보를 모델에 아주 많이 노출시키게 됩니다.
결국 검증 데이터에 맞추어 최적화했기 때문에 검증 데이터에 의도적으로 잘 수행되는 모델이 만들어집니다. 검증 데이터가 아니고 완전히 새로운 데이터에 대한 성능이 관심 대상이라면 모델을 평가하기 위해 이전에 본 적 없는 완전히 다른 데이터셋을 사용해야 합니다. 바로 테스트 세트입니다. 모델을 간접적으로다도 테스트 세트에 대한 어떤 정보도 얻어서는 안됩니다. 테스트 세트 성능에 기초하여 튜닝한 모델의 모든 설정은 일반화 성능을 왜곡시킬 것입니다.
데이터를 훈련, 검증, 테스트 세트로 나누는 것은 간단해 보일 수 있지만 데이터가 적을 때는 몇 가지 고급 기법을 사용하면 도움이 됩니다. 대표적인 세 가지 평가 방법인 단순 홀드아웃 검증(hold-out validation), K-겹 교차 검증(K-fold cross-validation), 셔플링(shuffling)을 사용한 반복 K-겹 교차 검증(iterated K-fold cross-validation)을 살펴보겠습니다.
- 단순 홀드아웃 검증
데이터의 일정량을 테스트 세트로 떼어 놓습니다. 남은 데이터에서 훈련하고 테스트 세트로 평가합니다. 앞 절에서 설명했듯이 정보 누설을 막기 위해 테스트 세트를 사용하여 모델을 튜닝해서는 안 됩니다. 이런 이유로 검증 세트로 따로 떼어 놓아야 합니다.
num_validation_sample = 10000
np.random.shuffle(data) ....................... 데이터를 섞는 것(셔플링)이 일반적으로 좋습니다.
data = data[num_validation_samples:]
training_data = add[:] ...................... 훈련 세트를 만듭니다.
model = get_model() 훈련 세트에서 모델을
model.train(training_data) 훈련하고 검증 세트로
validation_score = model.evaluate(validation_data) ........ 평가합니다.
# 여기에서 모델을 튜닝하고,
# 다시 훈련하고, 평가하고, 또 다시 튜닝하고 ........
model = get_model() 하이퍼파라미터 튜닝이 끝나면
model.train(np.concatenate([training_data, validation_data])) 테스트 데이터를 제외한 모든
test_score = model.evaluate(test_data) 데이터를 사용하여 모델을 다시 훈련시킵니다.
이 평가 방법은 단순해서 한 가지 단점이 있습니다. 데이터가 적을 때는 검증 세트와 테스트 세트의 샘플이 너무 적어 주어진 전체 데이터를 통계적으로 대표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쉽게 일르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른 난수 초깃값으로 셔플링해서 데이터를 나누었을 때 모델의 성능이 매우 달라지면 바로 이 문제입니다. 다음에 이야기할 K-겹 교차 검증과 반복 K-겹 교차 검증이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K-겹 교차 검증
이 방식에서는 데이터를 동일한 크기를 가진 K개 분할로 나눕니다. 각 분할 i에 대해 남은 K-1 개의 분할로 모델을 훈련하고 분할 i에서 모델을 평가합니다. 최종 점수는 이렇게 얻은 K개의 점술르 평균합니다. 이 방법은 모델의 성능이 데이터 분할에 따라 편차가 클 때 도움이 됩니다. 홀드 아웃 검증처럼 이 방법은 모델의 튜닝에 별개의 검증 세트를 사용하게 됩니다.
k = 4
num_validation_samples = len(data) // k
np.random.shuffle(data)
validation_scores = []
for fold in range(k):
validation_data = data[num_validation_samples * fold:
num_validation_samples * ( fold +1)] ......... 검증 데이터 부분을 선택합니다.
training_data = data[:num_validation_samples * fold] + ..... 남은 데이터를 훈련 데이터로
data[num_validationi_samples * (fold + 1):] ..... 사용합니다. 리스트에서 + 연산자
...... 는 두 리스트를 더하는 것이 아니고 연결합니다.
model = get_mode() .......훈련이 되지 않은 새로운 모델을 만듭니다.
model.train(training_data)
validation_score = model.evaluate(validation_data)
validation_scores.append(validation_score)
validation_score = np.average(validation_scores) ...검증 점수: K개 폴드의 검증 점수 평균
model = get_model() ........ 테스트 데이터를 제외한 전체 데이터로
model.train(data) ........ 최종 모델을 훈련합니다.
test_score = model.evaluate(test_data)
- 셔플링을 사용한 반복 K-겹 교차 검증
이 방법은 비교적 가용 데이터가 작고 가능한 정확하게 모델을 평가하고 할 때 사용합니다. 캐글 경연에서는 이 방법이 아주 크게 도움이 됩니다. 이 방법은 K-겹 교차 검증을 여러 번 적용하기되 K개의 분할로 나누기 전에 매번 데이터를 무작위로 섞습니다. 최종 점수는 모든 K-겹 교차 검증을 실행해서 얻은 점수의 평균이 됩니다. 결국 P * K개 (P는 반복횟수)의 모델을 훈련하고 평가하므로 비용이 매우 많이 듭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