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2024년 9월 30일 월요일

BPM의 핵심 단계

1. 프로세스 모델링

프로세스 모델링은 BPM에서 사용되는 방법으로,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모델링 도구를 활용하여 설계하고 문서화하는 과정입니다. 이를 통해 프로세스의 구조와 흐름을 명확하게 이해하고 전달할 수 있으며 프로세스 모델링은 다양한 도구와 표기법을 활용하여 표현합니다.

대표적으로는 플로우차트와 BPMN(Business Process Model and Notation)이 사용되는데 플로우차트는 간단한 기호와 화살표를 사용하여 프로세스의 단계와 결정 흐름을 나타내고 프로세스의 단계적인 진행과 조건에 따른 분기 등을 시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그에 반해 BPMN은 더 구조화된 방식으로 프로세스를 모델링하는 표기법입니다. 이는 프로세스의 시작과 끝, 작업 흐름, 의사 결정 포인트, 이벤트 등을 그래픽 요소로 표현하며, 프로세스의 구조와 동작을 상세히 기술할 수 있습니다.

BPMN은 각각의 요소와 관계를 정의하는 명확한 규칙을 가지고 있어 다양한 이해 관계자들 간의 의사소통과 프로세스 분석에 도움을 주며 프로세스 모델링은 프로세스의 단계, 작업 흐름, 의사 결정 점 등을 시각화하여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명확하게 설명하고 문서화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를 통해 프로세스 참여자들은 프로세스의 흐름과 역할을 이해하고, 프로세스 개선 및 변경을 위한 기반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 또한 모델링된 프로세스는 이후의 분석, 최적화, 자동화 과정에서 활용될 수 있습니다.

2. 프로세스 실행

프로세스 실행은 BPM에서 중요한 단계로, 실행 엔진 또는 워크플로우 엔진을 활용하여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이 엔진은 프로세스에 따라 작업을 자동으로 할당하고, 작업의 진행 상황을 모니터링하며, 예외 상황을 처리하고, 다음 단계로의 전이를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실행 엔진은 프로세스의 정의에 따라 작업을 할당합니다.

프로세스의 각 단계 또는 태스크를 수행할 수 있는 적절한 사람 또는 시스템에게 작업이 자동으로 배정되고, 작업 할당은 조직의 역할과 권한, 우선순위, 가용성 등을 고려하여 이루어집니다.

실행 엔진은 작업의 진행 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프로세스 참여자와 관리자는 현재 진행 중인 작업의 상태를 파악하고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는데 모니터링은 일반적으로 대시보드 또는 작업 목록을 통해 시각적으로 제공됩니다.

그리고 예외 상황은 실행 엔진이 처리해야 할 중요한 부분입니다. 예를 들어, 작업의 지연, 오류 발생, 결재 반려 등과 같은 예외 상황이 발생할 수 있는데 실행 엔진은 이러한 예외를 감지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하여 프로세스의 원활한 진행을 보장하게 됩니다. 예외 처리는 자동화된 규칙 또는 사용자의 개입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실행 엔진은 프로세스의 다음 단계로의 전이를 관리합니다. 즉, 이전 단계가 완료되면 다음 단계로 자동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데 이를 통해 프로세스의 흐름이 원활하게 유지되며 참여자들은 다음 작업에 대한 알림을 받고 진행할 수 있습니다.

3. 프로세스 모니터링

프로세스 모니터링은 실행 중인 프로세스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추적하고 분석하여 조직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말하는데 이를 통해 조직은 프로세스의 진행 상황과 성능 지표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

 

프로세스 모니터링은 실시간으로 프로세스의 상태를 확인하는 기능을 제공하는데 이는 프로세스가 진행되는 동안 어떤 작업이 수행되고 있는지, 각 단계에서 어떤 리소스가 사용되고 있는지, 현재까지 완료된 작업의 비율 등을 실시간으로 파악 가능하게 해, 조직이 프로세스의 진행 상황을 모니터링 및 관리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또한 프로세스 모니터링은 성능 지표를 측정하는 데에도 도움을 주는데, 예를 들어 프로세스의 처리 시간, 작업 완료까지 걸리는 시간, 각 단계의 수행 시간 등을 측정하여 프로세스의 효율성을 평가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조직은 프로세스의 병목 현상이나 비효율성을 식별하고 개선할 수 있습니다.

4. 프로세스 최적화

프로세스 최적화는 프로세스 분석과 개선을 통해 조직의 효율성을 향상시킵니다. BPM은 데이터와 성능 지표를 분석하여 프로세스에서 발생하는 병목 현상을 식별하고, 작업 흐름을 개선하며, 자동화와 자동화 기술을 도입하여 프로세스를 최적화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프로세스 최적화를 위해 BPM은 데이터와 성능 지표를 분석하는데 이를 통해 조직은 프로세스 실행 중에 발생하는 병목 현상, 지연, 비효율성 등을 식별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작업이 너무 오래 걸리는 단계나 자주 발생하는 작업 중단, 리소스 부족 등을 식별하여 문제를 해결하고 프로세스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BPM은 작업 흐름을 개선하는 데에도 도움을 줍니다. 프로세스의 각 단계와 작업을 분석하여 최적화할 수 있는 방안을 찾고, 중복 작업을 줄이거나 작업의 순서를 재조정함으로써 프로세스의 흐름을 개선할 수 있는데, 이는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BPM은 자동화와 자동화 기술을 도입하여 프로세스를 효율적으로 실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데 반복적이고 규칙적인 작업을 자동화하거나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여 의사 결정을 자동화함으로써 인력을 절감하고 오류 가능성을 줄일 수 있습니다. 조직은 프로세스를 보다 효율적으로 실행할 수 있고 업무 처리 속도와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BPM(Business Process Management)이란

비즈니스 프로세스 관리(Business Process Management, BPM)는 조직 내의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관리, 개선 및 최적화하기 위한 접근 방법입니다. BPM은 프로세스의 효율성, 품질, 일관성 및 유연성을 향상시키며 조직의 전략적 목표를 달성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BPM은 다양한 이점을 제공하는데 BPM을 통해 조직은 비즈니스 프로세스의 효율성과 일관성을 향상시키고 비용과 시간을 절감하며 고객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조직의 유연성과 대응력을 향상시켜 변화하는 비즈니스 요구에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을 강화합니다.

 

즉, BPM은 조직의 프로세스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최적화하여 비즈니스 성과와 경쟁력을 향상시키는 전략적인 접근 방법입니다. 조직은 비용 절감, 생산성 향상, 혁신 추진, 법적인 준수, 지속적인 개선과 성장 등 다양한 이점을 얻을 수 있습니다.

2024년 9월 29일 일요일

ITSM (Information Technology Service Management)

 

  • 서비스를 이용하는 고객과 서비스 제공자 간에 서비스 수준을 협의하여 그 수준에 맞게 품질을 유지하도록 하는 IT 서비스 관리 기법
  • 고품질의 IT서비스 지원 및 구현을 위한 각 프로세스, 조직, 기술제공 프레임워크II. ITSM의 4가지 관점 및 참조모델

  • ITSM의 목적
  • - ITIL기반의 IT 서비스 관리체계 와 운영방식 도입을 의미
  • - 궁극적 도입효과는 IT 역량과 성숙도 향샹을 통한 비즈니스 가치 제공임

    II. ITSM Framework 및 구성요소

    1. ITSM의 Framework

    - ITIL, SLM, eSCM, CMMi의 상호연동을 통한 IT 품질향상

    나. ITSM Framework의 구성요소

    유형

    항목

    내용

    ITIL

    정의

    IT서비스 관리에 대한 사실상의 산업표준(de-facto standards)

    ITSM을 위한 Best Practice를 일관성 있고, 포괄적으로 문서화한 책

    구성

    서비스 전략, 서비스 설계, 서비스 운영 전환, 서비스 운영, 지속적인 서비스 개선

    eSCM

    정의

    아웃소싱 제공업자의 능력수준을 평가할 수 있도록 만든 모델

    구성

    조직관리, 인원, 사업, 기술, 지식경영

    SLA

    정의

    공급자와 고객간에 핵심서비스 목표를 정의하고 상호 책임 사항에 대해 협의하여 작성된 문서

    구성

    Service Catalog, SLA, OLA, Service Quality Plan, Service Report, SLM엔진

    CMMI

    정의

    Capability Maturity Model Integration

    시스템공학과 소프트웨어 공학의 기능적 통합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통합된 제품을 개발, 기반을 제공하기 위한 능력 및 성숙도에 대한 평가와 지속적인 품질 개선 모델

    구성

    P-CMM, SA-CMM, SE-CMM, IPD-CMM

    측정유형: Staged, Continuous Representative Model

    프로세스, 프로젝트 관리 등의 25개 process area

     

  • Ⅲ. ITSM의 구성도 및 구성요소

    가. ITSM의 구성도

  • - People, Process, Technology, Organization의 유기적 연계를 통하여 최적의 비용으로 고객과 합의된 서비스 품질을 제공할 수 있는 IT운영관리 체계

    나. ITSM의 구성요소

    구성요소

    설 명

    프로세스

    (Process)

    서비스를 계획, 개발 및 적용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지원 및 관리 절차 제공

    인력

    (People)

    인력 개발 및 프로세스 중심적인 조직 구성을 통해 새로운 서비스를 창출하는 인적 자원 관리

    기술

    (Technology)

    프로세스 자동화, 서비스 제공 및 모니터링, 리포팅 하는 기술 솔루션 및 아키텍처

    조직

    (Organization)

    IT에 영향을 끼치는 내/외부의 비즈니스적인 요소 및 문화

    - People, Process, Technology, Organization의 유기적 연계를 통하여 최적의 비용으로 고객과 합의된 서비스 품질을 제공할 수 있는 IT운영관리 체계

     

    다. ITTL과 ITSM과의 관계




  • 라. 전통적인 IT운영과 ITSM의 비교

    구분

    전통적인 IT운영

    ITSM 

    관리관점

    IT내부 운영조직 중심

    비즈니스 현업 중심

    문제해결

    Fire Fighting, Reactive 

    Preventive, Proactive 

    절차

    Informal 

    Formal Best Practices 

    관리도구

    SMS, NMS etc 

    Process Enabling Tool 

    Billing 

    IT 요소별 사용료 개념

    서비스 수준에 따른 과금

     

    Ⅳ. ITIL기반의 ITSM 도입 전략

    가. ITSM의 최상의 방식을 모은 문서집, ITIL의 특징

    1) Business Requirement를 위한 IT Service 배치

    2) IT서비스의 제공 및 관리를 위한 Best Practice 모음

    3) IT서비스 제공 및 관리에 대한 벤더에 종속적이지 않은 포괄적이면서도 공개적인 가이드

     

    나. ITSM 도입을 위한 ITIL의 역할

    1) SI업체들을 중심으로 자사의 SM 및 아웃소싱 방법론 체계를 구축하는 기반 방법론으로서의 역할

    2) 구체적인 실체를 제공하여, 운영업무 전반에 적용 가능한 유효성 제공

    3) ITIL을 참조한 지속적인 IT운영 프로세스의 개선 및 구동으로 IT 생산성 향상과 IT 품질개선

     

    다. ITSM 도입전략 Flow



    - 참조모델을 통해 ITSM 변화요인을 종합적으로 통제, 실행 기준으로 활용

    라. ITSM 단계별 도입절차



    - ITIL 및 ITSM 고유 모델을 기반으로 Assessment를 통한 진단, 분석, 개선 방향 도출 후, ITIL을 근거로 업무 프로세스를 정립 및 최적화하고, 정립된 프로세스를 자동화 시스템으로 구축

     

    Ⅴ. ITSM 구축 기대 효과 및 발전전망

    가. ITSM의 구축 기대효과

    구분

    기대효과

    비즈니스 관점

    • IT서비스 운영의 전반적인 품질 개선
    • 단일 접점을 제공함으로써 고객 편의성, 생산성 증대

    재무적 관점

    • 비용 측면에서 정당한 IT인프라 및 IT서비스 제공
    • HW, SW의 요구사항에 대한 적시성 확보

    조직적 관점

    • IT서비스 요원의 생산성 향상
    • 조직 구성원들의 서비스 제공에 대한 R&R이 명확해짐

     

    나. ITSM의 발전전망

     

     

    cf1. CMDB(Configuration Management Database)



    • 항목

      설명

      Configuration 정보

      - HW,NW,SW 자산내역, IT인프라 관계정보

      Incident 정보

      - Incident별 중요도, 요청고객정보, 처리현황

      Problem 정보

      - 관련 Incident ID, 과거 유사사례, 처리방안

      Change 정보

      - 서비스 변경이력, 변경내용, 변경사유

      Service 정보

      - 서비스ID, 서비스 접수채널, 접수담당자





  • II. eSCM의 프레임워크 및 프로세스 영역




  • 가. eSCM의 프레임워크(조인사기지)

    조인사기지를 통한 소싱 프로세스를 체계화하여 eSCM의 레벨 심사하는 개념도

    나. eSCM의 구성요소

    항목

    내용 및 특징

    조직관리

    - 조직의 지도층은 의사소통 및 고객관리뿐만 아니라 효과적인 관리를 위한 시스템 필요

    - 조직관리체계 수립, 성과측정 및 관리, 고객관계수립: 리더, 팀조성자, 이행자로구성

    인원

    - 기술습득, 능력개발, 동기부여 및 지속. - 서비스 능력 및 품질을 결정하는 핵심요소

    사업

    - 요구사항 이해, 양질 서비스 제공, 서비스 수준 지속적인 개선, 절차 및 문서화

    기술

    - IT 소싱 서비스 업계에서 서비스 설계, 개발, 공급의 수단으로서 중요한 역할

    지식경영

    - 공급자가 목표달성을 위해 포괄적으로 지식을 수집, 체계화, 정리, 분석하여 배포


  • III. eSCM의 레벨(최고측혁우]

  • 레벨

    프랙티스#

    설명

    5

    우수성 유지

    -

    - 레벨 2, 3, 4 의 모든 프랙티스를 이행하고 일정기간 인중 평가 기간 유지

    4

    혁신을 통한 발전

    11

    고객의 요구사항을 만족시키고자 자사의 능력을 지속적으로 향샹할 수 있음 성과 예측 가능함.

    3

    측정을 통한 관리

    31

    공급자의 활동을 객관적으로 측정 및 관리할 수 있음 고객의 요구 사항에 적합한 서비스가 자사의 경험에 크게 다른 경우에도 해당서비스를 공수 할 수 있음.

    2

    고객요구사항이행

    51

    서비스 공급자는 요구사항을 파악하고 고객과의 약정에 따라 서비스를 공급하는 절차를 공식화 - 고객기대수준에 적합한 서비스면 기대 수준 맞춤

    1

    최초 단계

     

    공식적인 시스템 및 절차 없이 운영됨

    절차가 있더라도 엄격 준수 이행 안함.

    - 93개의 프로틱스 유형: 정책, 절차, 지침프로세스, 기타프로세스

    IV. ITIL을 기반으로 하는 ISO 20000과 eSCM의 비교

    구 분

    ISO 20000 (BS15000)

    eSCM

    개념

    IT서비스의 Best Practice를 정립 하기 위한 ITIL에 기반한 국제 표준 인증규격

    - 제공업자의 능력수준을 평가할 수 있도록 만든 모델 (Capability)

    특징(용도]

    고객의 요구사항을 만족하는 IT 서비스를 개발하고 구현할 수 있는 방법제공, 표준 제공

    IT 서비스에 대한 비용관점의 효과성(effectiveness)를 평가

    고객이 서비스 공급자의 능력을 평가할 객관 적인 수단을 제공함

    ITO의 전단계에 걸쳐, 고객만족을 절대 우선의 목표로 선정

    세부 내용

    - Part I: 서비스 관리를 위한 인증 규격(Specification)

    - Part II: 서비스 관리를 위한 실행 지침(Code of Practice]

    프로세스 영역(Process Area]

    조직관리, 인력, 사업, 기술, 지식경영에 대한 capability level 평가

    - eSCM의 레벨(최고측혁우]

    현황

    영국표준에서(BS->ISO] 국제 표준 으로 격상됨에 따라 공공기관 도입 필요성 증가

    eSCM2.0에서 ITIL 수용

    LG CNS Level4 획득

    인증기관

    - 영국표준협회 -> ISO 변경

    CMU(카네기 멜론 대학]: 미국



  • MSP 서비스

     1. MSP의 정의와 등장 배경


    국제 MSP협회(www.mspassociation.org)에 따르면 ‘MSP(Management Service Provider)는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다수의 고객들에게 IT 기반구조의 관리를 대행해 주며, 주로 월 단위로 서비스 요금을 과금하는 서비스’로 정의하고 있다. 따라서, 일부 MSP는 기존의 네트워크 관리회사 또는 소프트웨어 공급업체가 자사의 상품, 솔루션 및 서비스를 서비스 제공자(Service Provider) 모델에 알맞도록 변형시켜 제공하는 형태이며, 기업의 네트워크 관리 또는 시스템 관리를 대행해주는 ASP(Application Service Provider)로 볼 수도 있다.

    미국에서는 1999년 중반부터 MSP 서비스가 주목을 받기 시작했는데, 그 이유는 IDC나 ASP와 마찬가지로 기업의 IT 자원에 대한 관리를 아웃소싱함으로써, 기업의 역량을 핵심부분에 집중할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전자상거래 및 웹 응용분야의 급격한 성장 및 이에 따른 숙련된 엔지니어 확보의 어려움, 그리고 점점 더 복잡해지는 IT 기반구조로 인한 관리부담의 증가 등도 비용절감 이외에 MSP나 IDC 선택을 고려하게 하는 주요 요인이라 할 수 있다.

    SP(Service Provider)의 전성시대
    MSP라는 용어의 등장으로 인해 기존에 익숙하던 ISP나 ASP에 또 하나의 SP가 등장한 꼴이 되었다. 그러나, ISP, ASP, MSP 이외에도 수많은 xSP들이 나타날 준비를 하고 있다. 그 중 몇몇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ISP(Internet Service Provider), NSP(Network Service Provider), WSP(Web hosting Service Provider), ASP(Application Service Provider), HSP(Hosting Service Provider :IDC), SSP(Storage Service Provider), SSP(Security Service Provider), MSP(Managed Service Provider 또는 Management Service Provider), TSP(Technology Service Provider), CSP(Component Service Provider), FSP(Full Service Provider) 등이다.

    이들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자면, 이중 가장 먼저 소개된 ISP에서 NSP가 분화되었다고 볼 수 있는데, NSP는 한국통신, 데이콤, PSINet과 같이 기간통신사업자 혹은 대형 ISP로서 타 ISP들에게 국내 또는 국제 백본망을 제공해 주는 SP들이다.


    2024년 9월 22일 일요일

    Advanced Kafka Configuration Important parameters to be aware of

    1. auto.create.topics.enable=true => set to false in production

    2. background.threads=10 => increase if you have a good CPU

    3. delete.topic.enable=false => your choice

    4. log.flush.interval.messages => don't ever change. Let your OS do it

    5. log.retention.hours=168 => Set in regards to your requirements

    6. message.max.bytes=1000012 => increase if you need more than 1MB

    7. min.insync.replicas=1 => set to 2 fi you want to be extra safe

    8. num.ios.threads=8 => ++if your network io is a bottleneck

    9. num.network.threads=3 => ++if your network is a bottleneck

    10. num.recovery.threads.per.data.dir=1 => set to number of disks

    11. num.replica.fetchers=1 => increase if your replicas are lagging

    12. offsets.retention.minutes=1440 => after 24 hours you lose offsets

    13. unclean.leader.election.enable=true => false if you don't want data loss

    14. zookeeper.session.timeout.ms=6000 => increase if you timeout often

    15. broker.rack=null => set your to availability zone in AWS

    16. default.replication.factor=1 => set to 2 or 3 in a kafka cluster

    17. num.partitions=1 => set from 3 to 6 in your cluster

    18. quota.producer.default=10485760 => set quota to 10MBs

    19. quota.consumer.default=10485760 => set quota to 10MBs


    2024년 9월 21일 토요일

    How to change a Kafka configuration

    1. Change the configuration on every file server.properties

    2. Proceed to a rolling restart of all the brokers

    #!/bin/bash

    # let's apply a new setting to our server.properties
    pwd
    # make sure you're in the /home/ubuntu/kafka directory
    cat config/server.properties
    echo "unclean.leader.election.enable=false" >> config/server.properties
    cat config/server.properties

    # look at the logs - what was the value before?
    cat logs/server.log | grep unclean.leader
    # stop the broker
    sudo service kafka stop
    # restart the broker
    sudo service kafka start
    # look at the logs - what is the value after?
    cat logs/server.log | grep unclean.leader

    # operate on the three brokers

    Running Kafka on AWS in Production

    1. Separate your instances between different availability zones


    2. Use stl EBS volumes for the best price / performance ratio


    3. Use r4.xlarge or m4.2xlarge if you're using EBS(these instances are EBS optimized). You can use something smaller but performance may degrade


    4. Setup DNS names for your brokers / fixed IPs so that your clients aren't affected if you recycle your EC2 insta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