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2022년 7월 22일 금요일

2.4.3 확률적 경사 하강법

 미분 가능한 함수가 주어지면 이론적으로 이 함수의 최솟값을 해석적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함수의 최솟값은 변화율이 0인 지점입니다. 따라서 우리가 할 일은 변화율이 0이 되는 지점을 모두 찾고 이 중에서 어떤 포인트의 함수 값이 가장 작은지 확인하는 것입니다.

산경망에 적용하면 가장 작은 손실 함수의 값을 만드는 가중치의 조합을 해석적으로 찾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식 gradient(f)(W) = 0 을 풀면 해결됩니다. 이 식은 N개의 변수로 이루어진 다항식입니다. 여기에서 N은 네트워크의 가중치 개수입니다. N = 2나 N = 3인 식을 푸는 것은 가능하지만 실제 신경망에서는 파라미터의 개수가 수천 개보다 적은 경우가 거의 없고 종종 수천만개가 되기 때문에 해석적으로 해결하는 것이 어렵습니다.

그 대신 앞서 2.4절에서 설명한 알고리즘 네 단계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랜덤한 배치 데이터에서 현재 손실 값을 토대로 하여 조금씩 파라미터를 수정하는 것입니다. 미분 가능한 함수를 가지고 있으므로 그래디언트를 계산하여 단계 4를 효율적으로 구현할 수 있습니다. 그래디언튿의 반대방향으로 가중치를 업데이트하면 손실이 매번 조금씩 감소할 것입니다.

1) 훈련 샘플 배치 X와 이에 상응하는 타깃 y를 추출합니다.

2) x로 네트워크를 실행하고 예측 y_pred를 구합니다.

3) 이 배치에서 y_pred와 y사이의 오차를 측정하여 네트워크의 손실을 계산합니다.

4) 네트워크의 파라미터에 대한 손실 함수의 그래디언트를 계산합니다(역방향 패스(backward pass)).

5) 그래디언트의 반대 방향으로 파라미터를 조금 이동시킵니다. 예를 들어 W -= step * gradient 처럼 하면 배치에 대한 손실이 조금 감소할 것입니다.

아주 쉽네요! 방금 전에 이야기한 것이 미니 배치 확률적 경사 하강법(mini-batch stochastic gradient descent)(미니 배치 SGD)입니다. 확률적(stochastic)이란 단어는 각 배치 데이터가 무작위로 선택된다는 의미입니다(확률적이란 것은 무작위(random)하다는 것의 과학적 표현입니다). 네트워크의 파라미터와 훈련 샘플이 하나일 때 이 과정을 나타냈습니다.

step값을 적절히 고르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값이 너무 작으면 곡선을 따라 내려가는 데 너무 많은 반복이 필요하고 지역 최솟값(local minimum)에 갇힐 수 있습니다. step이 너무 크면 손실 함수 곡선에서 완전히 임의의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습니다.

미니 배치 SGD알고리즘의 한 가지 변종은 반복마다 하나의 샘플과 하나의 타깃을 뽑는 것이다. 이것이 (미니 배치 SGD와 반대로) 진정한(true) SGD입니다. 다른 한편으로 극단적인 반대의 경우를 생각해 보면 가용한 모든 데이터를 사용하여 반복을 실행할 수 있습니다. 이를 배치 SGD (batch SGD)라고 합니다.더 정확하게 업데이트되지만 더 많은 비요이 듭니다 극단적인 두가지 방법이 효율적인 절충안은 적절한 크기의 미니 배치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그러럼 2-11은 1D파라미터 공간에서 경사 하강법을 설명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매우 고차원 공간에서 경사 하강법을 사용하게 됩니다. 신경망에 있는 각각의 가중치 값은 이 공간에서 하나의 독립된 차원이고 수만 또는 수백만 개가 될 수도 있습니다. 손실 함수의 표면을 좀 더 쉽게 이해하기 위해 2D 손실 함수의 표면을 따라 진행하는 경사 하강법을 시각화해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신경망이 훈련되는 실제 과정을 시각화하기는 어렵습니다. 사람이 이해할 수 있도록 1,000,000차원의 공간을 표현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저차원 표현으로 얻는 직관이 실전과 항상 맞지는 않는다는 것을 유념해야 합니다. 이는 딥러닝 연구 분야에서 오랫동안 여러 이슈를 일으키는 근원이었습니다.

또 업데이트할 다음 가중치를 계산할 때 현재 그래디언트 값만 보지 않고 이전에 업데이트된 가중치를 여러 가지 다른 방식으로 고려하는 SGD 변종이 많습니다. 예를 들어 모멘텀을 사용한 SGD, Adagrad, RMSProp 등입니다. 이런 변종들을 모두 최적화 방법(optimization method)또는 옵티마이저라고 부릅니다. 특히 여러 변종들에서 사용하는 모멘텀(momentum)개념은 아주 중요합니다. 모멘텀은 SGD에 있는 2개의 문제점인 수렴 속도와 지역 최솟값을 해결합니다. 네트워크의 파라미터 하나에 대한 손실 값의 곡선을 보여 줍니다.

그림에서 볼 수 있듯이 어떤 파라민터 값에서는 지역 최솟값에 도달합니다. 그 지점 근처에서는 왼쪽으로 이동해도 손실이 증가하고, 오른쪽으로 이동해도 손실이 증가합니다. 대상 파라미터가 작은 학습률을 가진 SGD로 최적화 되었다면 최적화 과정이 전역 최솟값으로 향하지 못하고 지역 최솟값에 갇히게 될 것입니다.

물리학에서 영감을 얻는 모멘텀을 사용하여 이 문제를 피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서 최적화 과정을 손실 곡선 위로 작은 공을 굴리는 것으로 생각하면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모멘텀이 충분하면 공이 골짜기에 갇히지 않고 전역 최솟값에 도달할 것입니다. 모멘텀은 현재 기울기 값(현재 가속도)뿐만 아니라 (과거의 가속도로 인한) 현재 속도를 함깨 고려하여 각 단계에서 공을 움직입니다. 실전에 적용할 때는 현재 그래디언트 값뿐만 아니라 이전에 업데이트한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파라미터 w를 업데이트합니다. 다음은 단순한 구현 예입니다.

past_velocity = 0.

momentum = 0.1................모멘텀 상수

while loss > 0.01: ........................... 최적화 반복 루프

    w, loss, gradient = get_current_parameters()

    velocity = momentum * past_velocity - learning_Rate *( gradient

    w = w + mementum * velocity - learning_rate * gradient

    past_velocity = velocity

    update_parameter(w)

2.4.2 텐서 연산의 변화율: 그래디언트

 그래디언트는 턴서 연산의 변화율입니다. 이는 다차원 입력, 즉 턴서를 입력으로 받는 함수에 변화율 개볌을 확장시킨 것입니다.

입력 벡터 x, 행렬  W, 타킷 y와 손실 함수 loss가 있다고 가정합시다. W를 사용하여 타깃의 예측 y_pred를 계산하고 손실, 즉 타깃 예측 y_pred와 타깃 y 사이의 오차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y_pred = dot(W, x)

loss_value = loss(y_red, y)

입력 데이터 x와 y가 고정되어 있다면 이 함수는 W를 손실 값에 매핑하는 함수로 볼 수 있습니다.

loss_value = f(w)

W 의 현재 값을 W0이라고 합시다. 포인트 W0에서 f의 변화율은 W와 같은 크기의 텐서인 gradient(f)(W0) 입니다. 이 텐서의 각 원소 gradient(f)(W0)[i, j]는 W0[i, j]를 변경했을 때 loss_value가 바뀌는 방향과 크기를 나타냅니다. 다시 말해 텐서 gradient(f)(W0)가 W0에서 함수 f(W)가 W0에서 함수 f(W) = loss_value의 그래디언트입니다.

앞서 함수 f(x)의 변화율 하나는 곡선 f의 기울기로 해석할 수 있다는 것을 보았습니다. 비슷하게 gradient(f)(W0)는 W0에서 f(W)의 기울기를 나타내는 텐서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함수 f(x)에 대해서는 변화율의 반대 방향으로 x를 조금 움직이면 f(x)의 값을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동일한 방식을 적용하면 함수 f(W)의 입장에서는 그래디언트의 반대 방향으로 W를 움직이면 f(W)의 값을 줄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W1 = W0 - step * gradient(f)(W0)입니다(step은 스케일 조정하기 위한 작은 값입니다). 이 말은 기울기가 작아지는 곡면의 낮은 위치로 이동된다는 의미입니다. gradient(f)(W0)는 W0에 아주 가까이 있을때 기울기를 근사한 것이므로 W0에서 너무 크게 벗어나지 않기 위해 스케일링 비율 step이 필요합니다.


2.4.1 변화율이란?

 실수 x를 새로운 실수 y로 매핑하는 연속적이고 매끄러운 함수 f(x) = y를 생각해 봅시다. 이 함수가 연속적이므로 x를 조금 바꾸면 y가 조금만 변경될 것입니다. 이것이 연속성의 개념입니다. x를 작은 값 epsilon_x만큼 증가시켰을 때 y가 epsilon_y만큼 바뀐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f(x +epsilon_x) = y + epsilon_y

또 이 함수가 매끈하므로(곡선의 각도가 갑자기 바뀌지 않습니다) epsilon_x가 충분히 작다면 어떤 포인트 p 에서 기울기 a의 선형 함수로 f를 근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epsilon_y는 a * epsilon_x가 됩니다.

f(x +epsilon_x) = y +  a * epsilon_x

이 선형적인 근사는 x 가 p에 충분히 가까울 때 유효합니다.

이 기울기를 p에서 f의 변환율(derivative)이라고 합니다. 이는 a가 음수일 때 p에서 양수 x만큼 조금 이동하면 f(x)가 감소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a가 양수일 때는 음수 x만큼 조금 이동하면 f(x)가 감소됩니다. a 의 절댓값(변환율의 크기)은 이런 증가나 감소가 얼마나 빠르게 일어날지 알려 줍니다.

모든 미분 가능한(미분 가능하다는 것은 변화율을 유도할 수 있다는 의미로, 예를 들어 매끄럽고 연속적인 함수입니다) 함수 f(x)에 대해 x의 값을 f의 국부적인 선형 극사인 그 지점의 기울기로 매핑하는 변화율 함수 f'(x)가 존재합니다. 예를 들어 cos(x)의 변화율은 -sin(x)이고, f(x) = a * x의 변화율은 f'(x)=a입니다.

f(x)를 최소화하기 위해 epsilon_x만큼 x 를 업데이트 하고 싶을 때 f의 변환유ㅜㄹ을 알고 있으면 해결됩니다. 변화율 함수는 x가 바뀜에 따라 f(x)가 어떻게 바뀔지 설명해 줍니다. f(x)의 값을 감소시키고 싶다면 x를 변화율의 방향과 반대로 조금 이동해야 합니다.

2.4 신경망의 엔진: 그래디언트 기반 최적화

 이전 절에서 보았듯이 첫 번째 신경망 예제에 있는 각 층은 입력 데이터를 다음과 같이 변환합니다.

output = relu(dot(W, input) + b)

이 식에서 턴서 W와 b는 층의 속성 처럼 볼 수 있습니다. 가중치(weight)또는 훈련되는 파라미터(trainable parameter)라고 부릅니다(각각 커널(kernel)과 편향(bias)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이런 가중치에는 훈련 데이터를 신경망에 노출시켜서 학습된 정보가 담겨 있습니다.

초기에는 가중치 행렬이 작은 난수로 채워져 있습니다.(무작위 초기화(random initialization)단계라고 부릅니다). 물론 W와  b가 난수일 때 relu(dot(W, input) + b)가 유용한 어떤 표현을 만들 것이라고 기대할 수는 없습니다. 즉 의미 없는 표현이 만들어집니다. 하지만 이는 시작 단계일뿐입니다. 그 다음에는 피드백 신호에 기초하여 가중치가 점진적으로 저정될 것입니다. 이런 점진적인 조정 또는 훈련(trainintg)이 머신 러닝 학습의 핵심입니다.

훈련은 다음과 같은 훈련 반복 루프(training loop)안에서 일어납니다. 필요한 만큼 반복 푸프안에서 이런 단계가 반복됩니다.

1. 훈련 샘플 x와 이에 상응하는 타깃 y의 배치를 추출합니다.

2. x를 사용하여 네트워크를 실행하고(정방향 패스(forward pass) 단계), 예측 y_pred를 구합니다.

3. y_pred와 y의 차이를 측정하여 이배치에 대한 네트워크의 손실을 계산합니다.

4. 배치에 대한 손신이 조금 감소되도록 네트워크의 모든 가중치를 업데이트 합니다.

결국 훈련 데이터에서 네트워크의 손실, 즉 예측 y_pred와 타깃 y의 오차가 매우 작아질 것입니다. 이 네트워크는 입력에 정확한 타깃을 매핑하는 것을 학습했습니다. 전체적으로 보면 마술처럼 보이지만 개별적인 단계로 쪼개서 보면 단순합니다.

1단계는 그먕 입출력 코드이므로 매우 쉽습니다. 2단계와 3단계는 몇 개의 텐서 연산을 적용한 것뿐이므로 이전 절에서 배웠던 연산을 사용하여 이 단계를 구현할 수 있습니다. 어려운 부분은 네트워크의 가중치를 업데이트하는 4단계입니다. 개별적인 가중치 값이 있을 때 값이 증가해야 할지 감소해야 할지, 또 얼마큼 업데이트해야 할지 어떻게ㅐ 알 수 있을까요?

한 가지 간단한 방법은 네트워크 가중치 행렬의 원소를 모두 고정하고 관심 있는 하나만 다른 값을 적용해 보는 것입니다. 이 가중체의 초깃값이 0.3이라고 가정합니다. 배치 데이터를 정방향 패스에 통과시킨 후 네트워크의 손실이 0.5가 나왔습니다. 이 가증치 값을 0.35로 변경하고 다시 정방향 패스를 실행했더니 손실이 0.6으로 증가했습니다. 반대로 0.25로 줄이면 손실이 0.4로 감소했습니다. 이경우에 가중치를 0.05만큼 업데이트한 것이 손실을 줄이는데 기여한 것으로 보입니다. 이런 식으로 네트워크의 모든 가중치에 반복합니다.

이런 접근 방식은 모든 가중치 행렬의 원소마다 두 번의 (비용이 큰) 정방향 패스를 계산해야 하므로 엄청나게 비효율적입니다(보통 수천에서 경우에 따라 수백만 개의 많은 가중치가 있습니다). 신경망에 사용된 모든 연산이 미분 가능(differentiable)하다는 장점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가중치에 대한 손실의 그래디언트(gradient)를 계산하는 것이 훨씬 더 좋은 방법입니다. 그래디언트의 반대 방향으로 가중치를 이동하면 손실이 감소됩니다.

미분 가능하다는 것과 그래디언트가 무엇인지 이미 알고 있다면 2.4.3절로 건너 뛰어도 좋습니다. 그렇지 않으면 다음 두 절이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2.3.6 딥러닝의 기하학적 해석

 신경망은 전체적으로 텐서 연산의 연결로 구성된 것이고, 모든 텐서 연산은 입력 데이터의 기하학적 변환임을 배웠습니다. 단순한 단계들이 길게 이어져 구현된 신경망을 고차원 공간에서 매우 복잡한 기하학적 변환을 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3D라면 다음 비유가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하나는 빨간색이고 다른 하나는 파란색인 2개의 색종이가 있다고 가정합시다. 두 장을 겹친 다음 뭉쳐서 작은 공으로 만듭니다. 이 종이 공이 입력 데이터고 색종이는 분류 문제의 데이터 클래스입니다. 신경망(또는 다른 머신 러닝 알고리즘)이 해야 할 일은 종이 공을 펼쳐서 두 클래스가 다시 깔끔하게 분리되는 변환을 찾는 것입니다. 손가락으로 종이 공을 조금씩 펼치는 것처럼 딥러닝을 사용하여 3D 공간에서 간단한 변환들을 연결해서 이를 구현합니다.

종이 공을 펼치는 것이 머신 러닝이 하는 일입니다. 복잡하고 심하게 꼬여 있는 데이터의 매니플드에 대한 깔끔한 표현을 찾는 일입니다. 이쯤이면 왜 딥러닝이 이런 작업에 뛰어난지 알았을 것입니다. 기초적인 연산을 길게 연결하여 복잡한 기하학적 변환을 조금씩 분해하는 방식이 마치 사람이 종이 공을 펼치기 위한 적략과 매우 흡사하기 때문입니다.

심층 네트워크의 각 층은 데이터를 조금씩 풀어 주는 변환을 적용하므로, 이런 층을 깊게 쌓으면 아주 복잡한 분해 과정을 처리할 수 있습니다.

2.3.5 텐서 연산의 기하학적 해석

 텐서 연산이 조작하는 텐서의 내용은 어떤 기하학적 공간에 있는 좌표 포인트로 해석될 수 있기 때문에 모든 텐서 연산은 기하학적 해석이 간으합니다. 예를 들어 덧셈을 생각해 보죠. 다음 벡터를 먼저 보겠습니다.

A = [0.5, 1]

이 포인트는 2D 공간에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원점에서 포인트를 연결하는 화살표로 벡터를 나타냅니다.

새로운 포인트 B = [1, 0.25]를 이전 벡터에 더해 보겠습니다. 기하학적으로는 벡터 화살표를 연결하여 개산할 수 있습니다. 최종 위치는 두 벡터의 덧셈을 나타내는 벡터가 됩니다.

일반적으로 아핀 변환(affine transformation), 회전, 스케일링(scaling) 등처럼 깆본적인 기하학적 연산은 턴서 연산으로 표현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theta 각도로 2D 벡터를 회전하는 것은 2 * 2행렬 R = [u, v]를 점곱하여 구현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서 u, v는 동일 평면상의 벡터이면 u = [cos(theta), sin(theta)] 고 v = [-sin(theta), cos(theta)] 입니다.

2.3.4 텐서 크기 변환

 꼭 알아 두어야 할 세 번째 턴서 연산은 턴스 크기 변환(tensor reshaping)입니다. 첫 번째 신경망 예제의 Dense 층에서는 사용되지 않지만 신경망에 주입할 숫자 데이터를 전처리할 때 사용했습니다.

train_images = train_images.reshape((60000, 28 * 28))

텐서의 크기를 변환한다는 것은 특정 크기에 맞게 열과 행을 재배열한다는 뜻입니다. 당연히 크기가 변환된 텐서는 원래 턴서와 원소 갯수가 동일합니다. 간단한 예제를 통해 크기 변환을 알아보겠습니다.

>>> x = np.array([[0., 1.],

                        [2., 3.],

                        [4., 5.]])

>>> print(x.shape)

(3, 2)

>>> x = x .reshape((6, 1))

>>> x

array([[0.],

        [1.],

        [2.],

        [3.],

        [4.],

        [5.]])

>>> x = x.reshape((2, 3))

>>> x

array([[0., 1., 2.],

        [3., 4., 5.]])

자주 사용하는 특별한 크기 변환은 전치(transposition)입니다. 행렬의 전치는 행과 열을 바꾸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x[i, :]이 x[:, i]가 됩니다.

>>> x = np.zeros((300, 20)) .................. 모두 0으로 채워진 (300, 20) 크기의 행렬을 만듭니다.

>>> x = np.transpose(x)

>>> print(x.shape)

(20, 300)